총 게시물 674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이민/교육]

임시 외국인 노동자, 영주권 취득 비율 해마다 상승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6-03 (토) 00:21 조회 : 43251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1542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2010년 영주권자 28.9%, 취업비자 입국 출신 

임시 노동자 출신, 처음부터 영주권자보다 소득 갈수록 높아져

후진국 또는 개도국 출신 노동자, 절실히 원해서 영주권 취득 더 높아

캐나다 영주권 취득자 중 취업비자로 국내에 입국해 영주권 취득 전에 이미 직업을 가졌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연방 통계청이 임시 취업비자와 영주권자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한 자료를 지난 25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성인 영주권 취득자 중 임시 노동자(temporary foreign workers, TFW)로 국내에서 이미 생활을 한 비율이 1999년에 16.3%에서 2010년에 28.9%로 12.6% 포인트가 증가했다.

2015년 12월 말 기준 취업비자 소지자는 31만 명에 달했는데, 이는 전체 국내 노동자의 1.7%를 담당하며, 2000년과 비교해 4배나 늘어난 수치다.

이렇게 임시 외국인 노동자들이 늘고, 이들이 국내에서 좋은 임금을 받으며 잘 적응하며 영주권까지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또 임시 외국인 노동자가 취업비자 취득 후 얼마만에 영주권을 취득하는 지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1995년부터 1999년 사이에 들어온 임시 노동자의 약 9%만이 첫 취업비자를 받고 5년 이내에 영주권을 취득했다. 

하지만, 2000년에서 2004년에 들어온 경우는 13%로 증가했고,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에 온 경우는 21%로 점차 빠른 시간 내에 영주권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카테고리별로 5년 안에 임시 노동자에서 영주권자로 바뀐 분야를 보면, 입주요양사 프로그램(Live-in Caregiver Program, LICP)이 56%나 됐으며, 다음이 배우자나 동거인 카테고리로 50%를 기록했고, 가장 낮은 카테고리는 계절 농장 노동자( Seasonal Agricultural Workers Program, SAWP)로 2%에 불과했다. 또 상호 노동자 교환 프로그램(Reciprocal Employment category)의 영주권 취득 비율도 9%로 저조한 수준이었다.

기술 수준별로 볼 때도 높은 수준의 노동자가 쉽게 영주권을 취득했다.

국가별로 볼 경우, 연방 정부의 임시 프로그램으로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온 노동자들이 영주권을 얻는 비율이 높아졌다. 이는 모국보다 캐나다의 높은 생활 수준에 더 영주권을 절실히 원하기 때문이다.

소득에 있어서도 캐나다가 필요로 하는 임시 노동자 신분으로 와서 소득을 높여간 경우가 처음부터 영주권자로 온 경우보다 향후에도 계속 높은 소득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d3fa01be65d25628837d04010ae112bb_1496411
[그래픽. 2013년 전국 임시 외국인 노동자 49만2천 명, 2015년 앨버타 8만5천 명: 수요 상위 직종 - 호텔 및 음식 서비스, 건설, 간병, 농업 / 최다 출신국 - 필리핀, 멕시코, 미국]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674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정치
국내 가계, 금리 인상에 취약  0.5% 사상 초저금리 시대, 종식 임박했나? 전문가들, 대출 시 고정 이율 모기지 선택 권고  현재 국내 평균 가계 부채가 소득에 대비해 사상 최고 수위에 이른 가운데, 앞…
06-24
경제
최근 연방 중앙은행의 최고위 관계자들이 금리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연이어 발표함으로써, 오랫동안 변화가 없었던 국내 기준금리가 조만간 오르는 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연방 중앙은행의 스…
06-24
정치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무선통신업체들은 더 이상 '락(locked)'된 휴대전화를 판매할 수 없으며, 또한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전화를 '언락(unlock)'하는데 서비스 비용을 청구할 수 없게 된다. 정부의 새로운…
06-24
경제
올해 1사분기에 캐나다인들이 소유한 소득 대비 부채의 양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상 최고에 근접한 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높은 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모기지 부…
06-24
경제
[6월 23일, 유가 동향] 주초 20년 간 최대 낙폭 기록 후, 유가 반등 ​ 주초 급락했던 국제유가가 이날 반등하고 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 주도의 감산 노력에도&nb…
06-24
경제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여파로 달러 대비 캐나다달러 가치가 약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한때 1.3209캐나다달러까지 하락해 지난 2월 말…
06-17
경제
비자 및 마스터카드, 집단소송 끝에 법정 외 합의 향후 국내에서 비자 및 마스터카드로 결제할 때, 결제 수수료(surcharge)가 부과될 수 있다. 두 신용카드 회사는&nb…
06-17
이민/교육
2010년 영주권자 28.9%, 취업비자 입국 출신  임시 노동자 출신, 처음부터 영주권자보다 소득 갈수록 높아져 후진국 또는 개도국 출신 노동자, 절실히 원해서 영주권 취득 더 높아 캐나다 영주권…
06-03
경제
에너지 위주 서부와 달리, 경제구조 다변화로 제조업 및 전분야 성장 ​ 올해 2.6% 성장 및 2019년까지 호황 예상, 실질 임금은 제자리  정보기술 산업 몰린 키치너-캠브리지-구엘프, 특히 호경기  밴쿠…
06-03
경제
GDP 3.7% 성장, 미국 1.2%의 3배 기록해 2010년 이후 최고  에너지 산업 침체 탈출 및 주택 시장 열기, 가계 소비 부채질 결과  스코샤 캐피털, "GDP 4%선 성장에서 집값 폭락 우려는 지나쳐" 트럼프 무역정책 불…
06-03
경제
IMF 실사팀, 연방 정부 및 각주 정부에 집값 거품붕괴 대비 촉구 IMF 보고서, 소득 근거해 모기지 및 신용 대출 상한 규제할 것 권고   모기지주택공사 대출 건수, 올해 1분기 중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  …
06-03
사회/문화
토론토 및 밴쿠버, 몇 년 이내 소수 민족이 인구 과반 넘을듯  2036년, 소수민족 인구 현재보다 두 배 증가 예측 소수민족 최다 도시, 토론토, 밴쿠버, 캘거리, 에드먼턴, 위니펙 전망  빅토리아, 켈로우나, …
06-03
이민/교육
'트럼프 효과' 등 정치적 원인보다, 루니 약세 등 경제적 요인 더 커  비싼 국제학생 학비 감안해도, 미국 학비가 배 이상 비싸  유학생 급증, 이민자 수 증가에도 영향 미칠듯 루니화의 약세와 도널드 트…
06-03
정치
10개월새 온라인서 총리 위협사건 두번째…부인 위협 여성도 기소 온라인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에 위해를 가하겠다고 위협한 남성이 체포됐다. 이 통신에 따르면 연방 경찰은 지난 24일 소셜미디어 게…
05-26
사회/문화
컨퍼런스보드, '2017년 투숙객 전망 보고서' 발표  국내 관광 경기, 밴쿠버 주도하고 앨버타 회복할 것  캘거리 신규 직항 노선 추가 및 에드먼턴 라저스 플레이스 효과  올해 전국에서 …
05-26
경제
에너지 가격 폭등, 식료품 가격 하락으로 상쇄  물가 상승율, 중앙은행 목표 크게 못 미쳐 금리 인상 가능성 없어  고용 상황 호조, 경기 침체 걱정할 단계 아냐  물가, 올해 하반기 정상궤도 진입 가…
05-26
정치
첨단기술 분야 매출 연 260억 달러, 국가 경제 큰 부분 차지 총리, 버나비 방문 전 MS 사장 및 워싱턴 주지사 만나 협력 논의 첨단기술 기업 지도자들, 총리와 첨단기술 분야 지원 방안 협의 5월 셋째주에 메트로 …
05-26
사회/문화
18~34세 청년층, 내 집 마련의 꿈 위해 창의적 방법 동원 및 신중 캘거리 등 4개 도시 청년층 15%, 모기지 부담 덜려 단기 임대하기도​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부동산 구입 시기 저울질 여부는 비용 때문 청년층, 5…
05-26
경제
연방 중앙은행, 2009년 이후 경기 부양 위해 1% 이하 금리 유지 중  밴쿠버 및 토론토, 초저금리 기간 동안 집값 두 배 뛰어 낮은 금리, 모기지 뿐 아니라 소비자 부채 감각 둔하게 만들어   경기 침체 또는 …
05-26
경제
평균 모기지 부채 20만 달러 돌파, 최근 1년간 11% 이상 상승​ 4월 전국 평균 집값 55만9천 달러,1년 전 대비 10% 상승 주택 소유 청년층, 주택 관련 예상 밖 자금 필요 시 감당 능력 없어 무부채자 비율 청년층 14% vs …
05-26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