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최대 전력공사인 온타리오 주의 '하이드로 원 Hydro one'이 주민들에 수천만 원 짜리 요금 고지서를 오류로 남발하는 엉터리 행정을 저질러 온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온타리오 주 고충처리위원회는 25일(현지시간) 지난 수년간 하이드로원에 대해 터져나온 주민 불만 사례 1만 700건의 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캐나다 통신이 전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하이드로원은 새로 도입한 컴퓨터 시스템의 오류로 엉터리 요금을 부과해 주 내 10만여 가구가 피해를 본 것으로 밝혀졌다.
하이드로원은 캐나다 최대 발전 및 전력 공급 공사로 최근 들어 민영화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을 빚고 있다.
조사 결과 지난 2013년 5월 은행 자동이체 방식으로 요금을 납부하던 한 노인이 요금 고지서를 이상하게 여겨 자동이체를 정지시키자 공사 측이 1천만 캐나다달러(약 900만 원)를 자신의 계좌에서 차압하고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실제 그의 정상 요금은 778 캐나다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또 지난 2013년 6개월간 요금 고지서가 날아오지 않다가 갑자기 1만 8천 캐나다달러를 내라는 황당한 통보를 받은 한 주민은 결국 56달러 35센트만을 내도록 조정됐다.
그런가 하면 한 달에 200 캐나다달러 가량을 내던 80대 노인에게는 갑자기 9천 캐나다달러 짜리 요금 고지서가 한꺼번에 3개나 날아들었고 3년간 요금으로 부과된 7만 3천385 캐나다달러 짜리 고지서가 절반으로 줄어들기도 했다.
공사는 그러나 주민 불만이 높아지자 컴퓨터 오류와 행정 잘못을 고의로 은폐하고 거짓 보고로 감독 당국이나 고충처리위원회를 속여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안드레 마린 위원장은 "공사가 요금 행정 잘못의 성격과 내용, 정도에 대해 은폐로 일관했다"며 "이로 인해 고객서비스에 최악의 재앙을 불렀다"고 밝혔다.
공사측은 이의를 제기하는 주민들에게 전기를 끊겠다는 협박을 일삼기도 했으나 이는 공사 규정에도 어긋나는 처사였다고 마린 위원장은 지적했다.
그는 현재 공사 지분의 60%를 민간에 매각, 민영화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고 상기하고 민영화가 현실화할 경우 이런 부조리를 감독, 규제할 방안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출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