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44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경제]

캐나다에는 왜 금융 위기가 없었나

글쓴이 : 운영자 날짜 : 2013-02-17 (일) 17:12 조회 : 59664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61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보험·연금 포함한 全 금융기관, 단일 감독 기구의 규제 받아

모기지·투자은행 위험도 흡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때도 
캐나다 은행들 재무 건전성 유지, 저축銀 사태 겪은 우리에 교훈

미국은 예로부터 소규모 단점(單店) 은행이 많아 은행 체제가 분산되고 취약했다. 이들은 다양한 경쟁적 감독자들에게 맡겨져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2007년 미국은 상업은행이 받는 규제를 받지 않으면서도 상업은행 기능을 하는 '그림자 은행'의 규모가 정규 은행 체제보다 더 커졌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헤지펀드, 투자은행, 보험, 구조화투자회사(SIV), 경매방식 우선주 등이 이에 속한다. 금융시장 발달이 다양했던지라 복잡하고 때로는 중복·상충하는 규제 감독 기구가 만발(滿發)했다.

그뿐인가. 미국은 수차례 금융 위기(1873년·1907년)와 1차 은행 공황(1930년)을 겪었다. 유럽 은행들의 파산(1931년)은 중·동부 유럽의 연쇄 부도로, 영국의 금본위 포기와 평가절하로, 미국의 2차·3차 은행 공황으로 이어졌다. 금융 위기는 여러 경로로 실물 부문의 불황을 가져왔다.

그러나 캐나다에서는 1980년대에 규모가 작은 은행 2개가 파산한 적이 있으나 이는 1923년 이후 캐나다에서 처음 발생한 은행 파산 사건이었다. 2008년 미국이 은행 도산, 구제금융, 불황에 허덕일 때도 캐나다는 안정적이었다. 캐나다 은행들은 세계 금융 위기를 피해갈 수 있었다. 이를 두고 어떤 하나만을 그 원인으로 지목하는 건 무리겠지만 캐나다 은행 체계와 강력하고 통합된 은행 감독 체제를 눈여겨봄 직하다.

일찍이 캐나다는 은행 업무에 투자은행업이나 모기지 대출 등을 허용했다. 이것이 은행의 기본 업무에 증권 업무가 포함되는 '유니버설 뱅킹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다각화된 은행 집중체계를 갖추고 대다수 투자은행업과 모기지 대출은 은행그룹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미국보다 늦게 중앙은행(1934년), 예금보험공사(1967년), 통합 감독기관인 금융감독청(OSFI·1987년)이 설립되었다.

OSFI는 연방 재무부 소속의 정부 기관이지만 설치법상 감독 독립성이 보장된다. 청장(廳長)의 임기는 7년이고, 재원은 정부 예산이 아니라 감독 분담금을 통해 조달된다. 이에 따라 정치권으로부터 감독 독립성이 확보된다.

감독청은 은행·보험·연금 등에 대해 인가권·규제권·검사권·제재권 등 포괄적 감독권을 행사하면서 통합된 감독 기구로서 금융기관의 건전성 감독을 책임진다. 감독이 한 기관에 포괄적으로 위임되므로 중복 감독의 발생 소지가 적다.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OSFI는 재무부, 중앙은행, 예금보험공사, 금융소비자 보호 기구 등 관련 기관들과 함께 금융기관감독협의회(FISC)를 구성한다. 이 기관들은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주요 계획을 함께 논의하며 정책을 조율한다. BIS 자기자본비율, 레버리지 등 자본 규제도 엄격하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레버리지 비율은 미국이나 스위스보다도 더 엄격하다.

캐나다의 모든 금융 기관은 이 같은 방식으로 강력한 단일 감독 기구의 규제를 받았다. 이것이 모기지 시장과 투자은행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 원천을 체계적으로 흡수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때 캐나다 은행들은 구제금융 없이 견실한 재무 건전성을 유지했다. G7 국가 중 유일했다.

캐나다의 증권업은 각 주(州)에서 감독하게 되어 있어 분산이나 감독의 사각지대가 생길 소지가 없지 않다. 하지만 증권업 대부분이 은행그룹 차원에서 이루어지므로 실질적으로는 OSFI의 감독하에 있는 셈이다. OSFI가 비은행 부문을 은행 부문에 대한 감독 수준으로 감독한 점이야말로 캐나다 금융 체계를 건실하게 만든 주인공으로 평가받는다. 금융 위기 이후 캐나다에서는 비은행 부문에 대해서도 연방 차원의 단일 감독 기구 설립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규제 강화는 금융 효율성과 혁신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 감독 체계 개편이 현재 세계 각국의 추세다. 주로 유인구조 개선, 시스템 위험 요소 제거 등에 초점이 맞춰진다. 금융 피해가 큰 나라일수록 건전성을 높이는 규제보다는 실제 행위의 규제 쪽으로, 사후 '심판'보다는 경영 의사 결정 개입 쪽으로 향하는 듯한데 이는 좀 안타깝다. 은행의 자본 규제를 강화한 바젤3는 최근 약간 느슨해졌다. 건전성 규제는 경기 상황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되는 거시 건전성에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금융 소비자 보호에 관한 노력도 커졌다.

우리나라는 그림자 은행의 규모는 작지만 규제 수준이 은행과 다른 저축은행의 부실 사태를 겪었다. 정책과 규제 감독이 분산되어 효율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듯하다. 캐나다 은행들이 금융 위기 때마다 살아남은 이유를 다각도에서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출처 : 조선일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44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정치
연방정부가 당초의 공약과는 달리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사회기반시설 공사비 지불을 제 때에 지불하지 않고 연기하겠다고 밝혀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예산안에 의하면 적어도 올해 …
03-11
경제
CIBC가 최근에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캐나다인들은 은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75만 달러 가량의 돈을 저축해두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캐나다인들 은퇴 …
02-14
경제
캐나다 연방정부가 지금으로부터 40년 이내에 국가부채를 완전히 청산할 수 있을 것이란 낙관적인 보고서가 발표됐다. 지난주에 의회 예산국에 의해 발표된 신규보고서에 의하면 캐나다 정부가 보유한 채무가 20…
10-14
경제
캐나다 연금투자국(CPPIB)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분기에 투자금액 대비 1.9퍼센트의 수익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금투자국은 루니화의 강세로 인해 투자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쳐지고 있다고 밝…
08-25
경제
65세 이상 부채율, 2015년 하반기 이후 ‘최고 수위’ 은퇴자 77%, CPP에 전적 의존  집 소유자, 집 담보로 과도한 대출 국내 65세 이상 연령층의 부채율이 지난 2015년 하반기 이후 최고 수위에 이른 것으로 나타…
06-03
사회/문화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대책 시급' 지적  노인 복지정책 연금에만 치우쳐, 중병환자 의료시스템 부족 국내 노년층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연방 정부의 노인복지 정책…
06-03
정치
평균 수명 늘어 정년 은퇴는 옛말, 숙련 인력 재조명 받는 베이비부머 2030년 되면, 65세 이상 인구 25%로 급증할 전망 연방 경제자문 위원회, 은퇴 연령 상향 및 연금제도 개선 주장 은퇴 준비 마친 베이비부머…
04-14
경제
C.D. 하우 연구소, "정부는 '연금 자산'의 구체적 운영 방안 마련해야" 높은 수익 계속 올릴 수 있다는 보장 없고, 적자 대비책 제시 없어  연방 자유당 정부가 밀레니엄세대를 주대상으로 은퇴 생활비를 늘리…
04-08
정치
상원(Senate)에서 자유당 연방정부가 인프라 예산집행을 접근하는 방식이 너무 복잡하다고 비판하며, 31개의 다른 조직들을 통솔할 명확한 국가차원적인 계획이 없다고 주장했다. 상원의 국가재정위원회 (National Fi…
03-18
정치
개정 최종 절차 끝내, 더 내고 더 받는 방식 의회 결의 후, 연방 총독 서명 절차 완료 연방 정부가 국민연금 증액 홍보에 나섰다.  빌 모노(Morneau) 연방 재무부 장관은…
03-11
정치
산업현장 인력 부족 해소 및 내수 시장 확대 위해, 이민 확대 필요 외국자본 투자 유치해, 인프라 개선 및 확충에 2천억 달러 투입 권고 연방 자유당 정부, 권고안 검토 vs 보수당, 세금인하 및 규제철폐 요구 연…
02-11
경제
올해 RRSP 불입 마감, 3월 말  RRSP, 노후대책 및 절세수단 자리 매김  소득 신고 시 RRSP 이용자 600만 명뿐, 절세 둔감 국민 많아  71세 이전 RRSP 중도인출자, 전년보다 4% 상승해 38%  생활비 조달 위한 …
02-11
정치
65세로 낮춘 자유당 정부 총선 공약, 파기 논란일자 중단 ​ 은퇴 연령 2년 올리면, 연간 GDP 560억 달러 상승   인구 고령화, 산업 현장 일손 부족 및 연금 기금 운영 압박  기타 선진국들 55세 이상 …
02-11
경제
- BC 및 대서양주 부채 비율 최고, 퀘벡 최저  - 나이 들수록, 부채 비율 점차 낮아져  - 부의 분배 편중,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아  연방 통계청이 지난 14일 발표한 가계부채에 관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
12-22
정치
- 연금 납입액 및 지급액 동시 인상돼 - 야당 및 자영업자, 불입금 증액 불만 vs 연방 정부, 젊은 층 미래 위해 연방 자유당 정부는 다음달 의회에 '캐나다 국민 연금(CPP)' 개정안을 상정해 입법 절차를 시작한다…
09-16
정치
캐나다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공립 의료보험의 영역을 넓혀, 의사 처방전에 따른 약품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의약보험 확대안' 지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는 사립 의료보험에서만, 처방전에 따른 …
09-08
이민/교육
“앨버타의 공립학교에 대한 지출이 지난 10년간 70%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학생 수는 겨우 11% 증가했다.”라고 '프레이져 연구소(Fraser Institute)'의 보고서는 밝혔다. 그러나…
09-08
정치
정계를 은퇴한 스티븐 하퍼 전 연방총리와 곧 은퇴 예정인 제이슨 케니 전 이민부 장관이 받게 되는 연금의 규모가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도 이들 두 명의 정치인들은 의원들의 연금혜…
09-02
사회/문화
8월 25일 협상 시한 마감, 노사 기싸움 ‘팽팽’ 지난달 막판, 극한 상황을 모면한 우체국(CANADA POST)과 노조의 단체 협약 협상이 여전히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5만여 명의 우체국 직원들…
08-19
경제
- 앨버타 및 새스캐쳐완주, 체납율 폭증 - 전국 '소득 대비 가계 부채율'도 여전히 위험 수위  - 국내 경제 전망, 낙관 및 비관 반반  국내 가계부채와 체납율이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08-18
목록
 1  2  3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