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246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정치]

캘거리 시당국, 집값 하락 반영 못한 '재산세 인상 고지서'에 항의 전화 빗발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6-06-09 (목) 20:29 조회 : 28827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931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 '과표 기준' 전달 1월 초와 '고지서' 발부 6월 초에 항의 전화 많아

- 재산세 동결할 경우, 6천6백만 달러 추경예산 필요

캘거리 시의원들에 의하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한 재산세 고지서를 받은 상당수의 집주인들이최근 캘거리 시청 재산세 담당자들에게 항의성 전화를 한다고 한다.

캘거리 시의원 '워드 서더랜드 (Ward Sutherland)'에 의하면, 일부 집주인들은 전년 대비 10퍼센트가 넘게 상승한 재산세 고지서를 받은 경우도 발생하였으며, 평균적으로는 캘거리 시의회가 전년대비 6.1 퍼센트 인상을 확정한 재산세 고지서를 받았다고 한다. 

서더랜드 의원은 상당수의 주민들은 이러한 재산세 상승분에 더하여 각종 공공수수료의 인상으로 인해 화가 난 상태라고 전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은 앨버타주의 세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다고 알고 있으나, 막상각종 서비스 수수료를 감안하고, 특히 유류와 전기에 추가적으로 붙는 10 퍼센트의 세금을 감안한다면 결코 낮은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션 추 (Sean Chu)의원'도 최근 자신의 이메일과 전화를 통해서는 물론, 자신의 집에까지 직접 찾아온 주민들까지 크게 오른 재산세에 대하여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한다.

캘거리시에 따르면, 금년도 재산세 고지분은 작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그 이후 크게 떨어진 주택가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대다수의 주택 소유주들이 못 마땅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캘거리시 의원 '브라이언 핀크트 (Brian Pinckott)'에 의하면, 캘거리시에서 제공하고 있는 각종 서비스 수준을 현재와 같이 유지하면서 재산세를 올리지 않는다면, 무려 6천6백만 달러의 예산이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한다. 

그에 말에 따르면, 금년 연초 개별 집주인들에게 고지된 재산세 과표기준과 관련하여, 재산세조정신청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인 2천건에 불과하였다고 하였고,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항의성전화는 매년 반복적으로 폭주한다고 한다.

또, 재산세 과표기준이 각 가정에 전달되는 1월초와 재산세가 발부되는 6월초에는 특히 이같은항의성 전화가 잦다고 한다.

한편, 앨버타는 아직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소득세율을 갖고 있으며, 재산세 월납 신청을 하지않은 주택 소유주들은 6월30일까지 재산세를 완납해야만 한다.

801fc727f28433c2743b253bd998f59c_1465373

[이원진 기자]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246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정치
- 지역별 부동산 시장 큰 편차로 인해, 일률 규정 적용 어려워 - 연방 정부와 지방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것  연방 정부가 밴쿠버와 토론토와 같이 부동산 열기가 지나치게 뜨…
07-01
경제
- 부동산 시장 좌우하던 두 도시 진정세로 돌아서면, 전국 집값에도 큰 영향 끼칠 것 - 내년 국제유가 상승으로, 앨버타 주택 거래량은 반등할듯 캐나다의 과열된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는 기미…
07-01
경제
5월 기준, '식료품값' 안정세 및 '물가' 억제선 하회 수입 식료품 가격의 오름세가 진정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국내 물가가 연방중앙은행의 억제 목표선보다 훨씬 낮은 수위에 머물렀다.지난 20일 월요일 연방 …
06-25
정치
- '과표 기준' 전달 1월 초와 '고지서' 발부 6월 초에 항의 전화 많아 - 재산세 동결할 경우, 6천6백만 달러 추경예산 필요 캘거리 시의원들에 의하면, 전년 대비 크게 …
06-09
경제
국내 휘발유값, 4월 최고점 찍은 후 안정적 내림세 포트맥머리 대형 화재로 인해 휘발유 공급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올여름 휘발유값이 폭등하는 상황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앨버…
06-09
사회/문화
9만 명이 서둘러 빠​져나간 도시에서 전기 및 가스 서비스를 재개하는 일은 쉽지 않다. 5월 초 포트 맥머리에서 9만명이 빠져나갔을 때, 그들이 남기고 떠난 것은 집과 생활 뿐만 아니라, 다시 재가동되어야 하는…
06-03
사회/문화
식료품비 등 각종 물가는 계속 오르는 반면, 소득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어, 특히 서민들의 생활고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물가는 1.7% 상승했으나, 임금은 겨우 0.7% …
06-03
경제
4월 평균, 전년 대비 1.7% 상승   지난달 휘발유와 의류 값이 전년 대비 하락한 가운데, 식품값을 포함한 국내 물가가 전반적인 오름세를 기록했다. 지난 21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인플레이션은 …
05-27
정치
총리는 최초 변경이 이루어질 때 빠졌던 세 개 서부 경제지역에 고용보험 혜택을 확대한다고 말했다. "이들 지역을 주민들이 확충된 고용보험 혜택을 받는 지역의 목록에 추가됨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추가…
05-21
이민/교육
집값 '월간 증감율', 5개 주요 지역서 ‘내림세’ 올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토론토와 밴쿠버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이어진 반면, 이 두 곳 이외 지역에선 대부분 가격이 하락했다. 지난 12일 '내셔널 뱅크'가 발…
05-21
경제
3천㎢가 넘는 면적을 태우고도 여전히 기세등등한 캐나다 앨버타 주(州) 대형 산불로 인한 오일샌드 업계의 피해규모가 7억6천300만 캐나다 달러(약 7천억 원)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산불사태의 진원지인…
05-18
사회/문화
최근에 부동산 전문기업인 리맥스가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은퇴를 앞둔 캐나다 장년층의 대다수가 집을 파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리맥스의 의뢰를 받아 Leger사가 시행한 여론조…
05-06
사회/문화
불경기, 식품 가격상승, 난민 증가 등 3가지 문제 겹쳐  빈곤층에 식품을 제공하는 자선단체인 '푸드뱅크'에서 불경기, 식료품 가격상승, 난민 증가 등의 삼중고로 정부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
05-06
사회/문화
시속 70㎞ 강풍에 불길 사흘째 급속 확산 "정말로 세상의 종말 같았다…도로 옆으로 불벽이 쭉 늘어서 있는데 마치 영화 속 한 장면 같았다." 고온 건조한 날씨에다 시속 70㎞의 강풍을 타고 불길이 사흘째 거…
05-06
경제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54센트(1.2%) 오른 배럴당 44.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6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전 거래일보…
05-06
경제
​[4월 26일 유가 동향] 국제유가는 달러화 약세와 원유시장의 투심개선에 힘입어 올해 고점 근방 근처에 거래되었다.  다만, 애널리스트들은 이달 …
04-30
경제
연간 1.3% 상승​했지만, 중앙 은행 '물가 억제선' 밑돌아 지난달 전국 물가 상승폭이 저유가로 인해, 연방 중앙은행의 억제선 2%보다 훨씬 낮은 수위에 머무른 것으로&…
04-29
경제
19일 현재 79센트선, 작년 7월 이후 최고치 캐나다 달러(이하 루니)의 미화 대비 환율 가치가 지난 19일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지난 여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루니는 국제 환율시장에서미 달러 당 78.…
04-22
경제
공실률 20.2% 기록. 렌트비는 전년대비 30% 이상 하락한 스퀘어피트당 $20.97 기록 캐나다상업부동산전문회사 (Commercial Real Estate Services Canada)에 따르면 캘거리 중심가인 다운타운 빌딩의 공실률은 지난 30년만에 최…
04-20
경제
캘거리 집값 1.8% 하락... 캐나다 주택 시장 활황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달 전국의 주택 거래량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부동산협회는 15일 이 기간 전국의 주택 거래가 전년도보다 12.2% …
04-16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