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로그인
    • 소셜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로그인연동 서비스로 본 사이트에 정보입력없이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소셜로그인 자세히 보기
문인의방
Calgary booked.net
-29°C
총 게시물 45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0 <50년전 그해 5월>

글쓴이 : 반장님 날짜 : 2022-06-21 (화) 09:42 조회 : 7569
글주소 : http://cakonet.com/b/writer-214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0 <50년전 그해 5월>

이걸 어쩌나. 꽃이 피는가 했더니 녹음이 우거졌다. 녹음이 사라지고 매미 울음소리 멈추니. 단풍잎 굴러 낙엽잎 아스라지고 흰 눈꽃이 우주를 덮었도다. 발걸음 멈추고 지나온 길 더듬는다. 아무도 모르게 떠나버린 새, 수 많은 새의 종류가 있지만 훨훨 공을 날고 있는 새를 부럽게 생각함은 인류가 원하는 보편적 가치다, 그런데 날지 못하는 사람은 그 새라는 것을 상상만 해 왔는데 그 놈의 새는 수퍼 소닉으로 날아가더라. 생각할 수록 이 새라는 세월이 무섭게 다가오고 있슴을 잊을 수 없고 날아가는 새를 누가 막을 수 있을까. 인류역사에서 예수, 석가, 성황당 산신령 그 누가 만들었는지 그 새 속에 갇혀서 한생을 바둥 바둥하다가 떠나 간다. 그 수 많은 새의 이름은 있건만 세월이란 새의 이름은 없슴을 어이햐랴.

어떤 선남 선녀가 연애라는 것 일년 반을 하다가 서로가 결혼이란 것을 퇴계로 아리스토리아 호텔에서 외딩 마치를 올린지가 50년전 그해 오월은 지나 갔다. 신랑이라는 사람은 숱한 악조건 속에서 그 놈의 행복이란 것이 무엇인지 모르면서 핏줄을 생산하고 그 시절 한국이란 나라에서 좋은 직장 팽개치고 공부 좀 더 한다고 신부를 설득 나아가 답답한 좁은 땅덩이 보다 큰 땅덩이에서 심 호흡을 하면서 살자는 명분이 지금은 낭인 시인이 되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이럭 저럭 50년이 지난 그해 5월을 그리워 하면서..................

<니체>가 말했던가? 순간은 영원하다고 그 말을 항상 가슴 속에 간직한 채 행상 장사에서 고물장사로 무역업으로 부동산 업으로 모든 능력을 발휘하여 살아 오면서 순간이란 집념 하나 그 순간의 짜릿한 시간들을 잊지 않으며 처 자식 배 불리 먹이고 불편함이 없게 하고자 밤 낮을 모른체 성실과 근검절약, 집착력과 신용 하나로 열심히 살아 왔다. 오늘은 로키산 계곡 특수 호텔 방 14개로 운영되는 조용한 곳에서 신부가 마련한 방에서 하루를 넘긴다. 어느새 이 신랑 신부가 흰 머리털과 대머리 총각으로 변해 젔는지를 생각하니 가슴 속에는 하염 없는 눈물이 쏟아진다.

지난주 나의 시 <낭인 시인>이란 시를 발표했더니 조국에서 유명 시인, 소설가,평론가 등이 오래오래 남을 명시라 격려의 찬사를 보내왔다. 이 시 하나가 인류에게 남길 명시라고 하여 혼자 낄낄 깔깔 웃으며 오늘은 나의 인생길 산책 100호를 쓰면서 같은 카페에 글을 발표하는 정말로 명 시인인 윤 명수 시인의 <어느새>라는 시의 주제를 음미해 보았다.

정말 어느새 나의 인생길 산책도 100번째 글을 쓰기에 100 호의 글이 영원히 남을 수 있는 주제를 숙고 하여 50년전 이 부족한 사람을 남편으로 맞이하여 고생한 나의 신부, 힘들게 키웠던 나의 3 자녀가 성숙한 성인이 되었슴의 감사함, 캐나다에서 제일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토론토의 한인 뉴스 신문사 이 용우 사장 등등에 감사를 하며 이 글을 쓰고 있다

끝으로 순간이 있기에 뒤안길도 있다. 나의 글을 읽은 100만여명 이상의 알지 못하는 세계 동포들의 격려와 지도에 진심으로

머리 숙여 감사를 드리며 그 세월을 잡지 못하고 인류는 간다 간다. 구멍에서 왔기에 구멍으로 가야하는 숙명을 즐겁게 맞이 하자는 말로 100번째 인생길 산책을 마친다. 민초

이 유식 2022년 5월 30일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45건, 최근 0 건 안내
제목 날짜 조회
<누군가를 사랑함은> 누군가를 사랑함은 사랑을 받는 것 보다 아름다우리라 받는 사랑보다 주는 사랑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고자 …
03-01 5994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0 <사랑이란 무엇이기에? 1> 사람은 사랑을 먹고 사랑의 꿈을 꾸며 한 생을 살아가다가 흙이 되는 것일까? 세상…
12-18 5958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88 <한국의 슈바이처 장 기려 박사> 한국의 슈바이처 장 기려 박사 그는 누구인가? 그저 상식적으로 훌륭한 …
12-03 5928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2 <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 2> 서양의 그리스도교의 문화권은 동양보다는 조금 늦은 기원 후부터 사랑을 둘…
01-06 5883
밤 그믐밤이 바람을 몰고 왔던가 달님의 손짓에 잠을 잃은 이 밤 뒷뜰의 가을꽃 서산에 걸렸더라 밤은 외로운 자에게 최대의 행복 아아 초추의 …
10-20 5760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10 <아! 10월이여! 3> 더벅머리 너즐한 가죽잠바 너무 초라한 내 몰골로 일년 3개월만에 조국땅을 다…
10-20 5421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1 <생존,그리고 사랑과 문학 1> 필자주 : 2021년 영원히 못올 이 한해를 상상하며 우연한 기회에 Google .com 에 들…
12-31 5211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26 <제16회 민초 해외동포문학상 문학상 수상소감과 수상작> <문학상 제정자의 변> 해외 7백50만 동포들의…
08-13 4740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82 <<행복을 찾는 길은 2>> 행복이란 무엇일까 인생이 살아가면서 이 추상적인 두 글자에 잘 살았다 잘 못 살아…
06-14 4728
<<안개>>詩 억만개의 별들을 몸 속에 숨기고 자리에 눕는다 사방의 벽에 문신이 박혀 너훌너훌 춤을 추고 미세 먼지가 거미줄로 내 몸을 칭…
03-29 4707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4 <시인들은 배가 고프고 고독하다,칼럼> 언제부터 인가 내가 시인인가? 나의 삶의 가치 기준은 인류에게 …
08-05 4650
문협 동인지 출간을 축하하며 (2) 이 유식 시인 초대 2,3대 머슴 우리 글과 말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여기에서 간단한 사례를 들어 봅니다. 5년전이라 …
04-09 4614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8<샤를 보들레르의 영광과 고통의 생애> 1821년에 출생 1867년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시인 <보들레르>, 그의 …
03-24 4566
흑표범의 노래<신년시 1> <임인년,꿈 속의 길> 안개 자욱히 숨쉬는 바닷길 태풍에 옷 자락의 바람을 털어내고 흑표범이 포효하는 …
12-28 4557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5< 정 소성 교수를 추모하며> 존경하는 친구 정 소성 교수를 먼길 떠나보낸 이 마음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까 …
02-17 4380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8 <바이킹 유람선에서 만난 안 익태 선생의 보좌역 지머만교수> 6년이 흘러갔다. 세월의 무상함을 어찌하려…
05-06 4329
<경칩의 울음소리>詩 올챙이적 추억이 그리웠더냐 개구리로 늙어가다 소식 없이 사라저감이 슬펐더냐 인연의 끝은 윤회의 기쁨임을 잊지 말아…
03-15 4260
존엄의 창窓 3 석굴암 부처님 여명의 첫 햇살 듬뿍 마시며 영원의 빛을 품어 만인의 자랑이건만 그 자화상 속에 고독이란 빛이 새어 나옵니…
04-08 3474
아리랑 노래의 혼불 민초 이 유식 흰 색깔은 나의 미족이다  핑크색 사랑을 찾던 빛깔 승리의 깃발 흔드는 파란색 노랑 빨간색의 정열 장미꽃 …
09-12 3168
문협 동인지 출간을 축하하며 (1) 이 유식 시인 초대,2,3대 머슴 문인협회의 7번째 동인지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를 드립니다. 엇 그제에 창립을 한 것 …
03-05 3168
목록
처음  1  2  3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