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300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사회/문화]

알버타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하면 압수 당할 수도

글쓴이 : 알버타… 날짜 : 2013-03-17 (일) 02:23 조회 : 42900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71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알버타]  청소년 산만운전 충돌 사고 가장 큰 요인
 
현대의 차는 예전에 비해 안전하다. 그러나 운전자들에게는 안전이란 있을 수 없다. 운전한다는 그 자체가 위험하며 산만 시 사고발생은 불가피하다.
 
최근 캐나다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캐나다 청소년들의 운전 산만은 충돌사고의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망의 원인으로 최고 높은 비율을 보였다.
 
통계청은 청소년들이 운전 중 문자 메시지, 전화 사용, 화장 특히 식사 등을 하면서 도로에 초점을 주지 않거나 친구들과 음악을 듣는 등 운전에 집중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학생 나이 12살에서 17살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9퍼센트가 차에 함께 타고 있는 동료들의 목소리가 운전을 방해 한다고 밝혔다.  
 
또 최근 어느 보험회사가 온라인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94퍼센트의 응답자가 산만운전에 적발되면 벌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운전시 안전을 언급하면서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운전 중 메시지 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주장한다. 학생들은 눈길운전이 전화기 사용할 때보다 더 위험하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알버타주 경찰은 산만 운전 적발 시 휴대전화를 임시 압수하며 벌금도 액수를 높이는 제도를  논의 중이다. 알버타 주에 이 규정이 통과 되면 휴대전화 사용으로 적발 시 휴대전화를 24시간 압수하게 된다.
 
현재 BC 주 경우는 167달러의 벌금 제도며 휴대폰 압수에 대해서는 13일 현재 경찰과 법무부 사이에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알버타 주 법무장관 조나단 데니스(Jonathan Denis) 는 이 규정을 알버타주에서 통과 시키기 전 BC주의 결과를 관심 있게 관찰해 본 후 알버타 주 법규로 실행 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출처: 알버타저널]
 
 

Harry 2013-03-17 (일) 09:57
아직도 저는
운전하기 전에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차의 시동을 겁니다.
한국에서 부터 이렇게 하다 보니
부자연스럽지도 않고
마음이 편해 집니다.
댓글주소 추천 0 반대 0
Skyblue 2013-03-19 (화) 08:34
저두 핸드폰 끄고 마음을 비우면서 운전해야 하는데 생각대로 안돼네요.ㅎㅎ
댓글주소 추천 0 반대 0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300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사회/문화
캐나다 영토내 첫 알 카에다 연계 테러…"보스턴테러와는 무관"   캐나다 연방경찰(RCMP)은 22일(현지시간) 국영철도 '비아 레일'(VIA Rail) 여객열차를 겨냥한 알 카에다 연계 테러음모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연…
04-24
사회/문화
2002년께 미국으로 이민, "소셜미디어에 열정…범행 납득안돼"   미국 보스턴 마라톤대회 폭탄테러 용의자 가운데 한 명이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은 도주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공개수배된 두 명 가운데 …
04-21
사회/문화
오바마 "보스턴 폭발은 테러"..FBI "범인 찾기 위해 지구 끝까지 갈 것"   보스턴 마라톤대회 폭탄테러의 사상자가 16일(현지시간) 180명으로 늘어났다.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담화문을 통해 보스턴 폭…
04-16
이민/교육
이민 준비와 이민 후 몇 개월간 생활 안내 제공 캐나다 이민부는 지난 2일 새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캐나다 안내서 ‘월컴투 캐나다’(Welcome to Canada)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안내서는 이민 준비와 이민 후 몇 …
04-09
정치
보수당 의원 16명 가세…149대 137 캐나다 하원은 20일(현지시간) 성전환자(트랜스젠더) 차별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하원은 이날 그동안 여야 간 거센 논란을 벌이던 법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149 대 반대 137표로 …
03-26
사회/문화
알버타 주 내에서 2012년 한해동안 청소년 자살은 33 건으로 2011년 14명에 비해 상당히 증가했다. 특히 레드디어 청소년들의 자살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Brett Watts 는 장애인인 자신을 놀리…
03-22
일반
캐나다 조폐국에서 마지막으로 생산한 캐나다 동전 페니 중 마지막 롤을 우연하게 구입한 토론토의 한 남성이 이 페니롤을 경매에 붙여 많은 이익금을 남겼다.   자신의 이름을 단지 Jack 이라고만 밝힌 이 …
03-17
사회/문화
[캘거리]  캘거리 동물원의 고릴라가 우리에서 탈출하는 사고로 관리 직원이 부상을 당했다.   동물원 측은 8일 몇 고릴라들이 우리에서 탈출하여 부엌으로 침입했으며 사고 당시인 오전9시 40분 경에는 …
03-17
사회/문화
[알버타]  청소년 산만운전 충돌 사고 가장 큰 요인   현대의 차는 예전에 비해 안전하다. 그러나 운전자들에게는 안전이란 있을 수 없다. 운전한다는 그 자체가 위험하며 산만 시 사고발생은 불가피하…
03-17
사회/문화
추억의 ‘임진강 컵’은 10일 캐나다 오타와 시 리도 운하에서 60년 만에 부활 6.25 전쟁 중 캐나다 군인들이 임진강에서 즐겼던 아이스하키 경기가 60년 만에 캐나다에서 재현됐습니다. 장관들과 상하원 의원들…
02-18
사회/문화
사고 빈발 지역 20곳 중 캘거리 2곳 올라 밴쿠버 내 교차로가 전국에서 가장 교통사고가 자주 나는 곳으로 지적됐다. 자동차 사고 관련 통계마다 위험한 지역으로 꼽히지만 여전히 사고가 빈발하는 곳이다…
01-27
사회/문화
"권리 보장" 요구 한 달여…해묵은 숙제 표면화 캐나다 원주민이 16일(현지시간) 하루를 '행동의 날(Action Day)'로 정하고 전국 시위를 벌이자 주요 도시 곳곳에서 철도와 고속도로 운행이 지연되고 도심 집회가 이…
01-20
정치
스티브 블래니(Steve Blaney) 캐나다 보훈장관이 2013년을 ‘한국전 참전 용사의 해’로 선포했다. 보훈장관은 지난 8일 오후 캐나다 항공우주 박물관내 한국전에 참전한 두 대의 비행기 앞에서 열린 특별 행사에서 …
01-14
정치
수교 50년 … 채터슨 주한 캐나다 대사 캐나다는 우리에게 멀고도 가까운 나라다. 19세기 말 선교사 파송을 시작으로 의사·교사들이 잇따라 한국 땅을 밟으며 교류의 폭을 넓혀왔다. 6·25전쟁 때는 미국·영국에 …
01-14
사회/문화
캐나다에서는 해마다 2천~6천 명이 독감으로 숨져.. 캐나다에서 독감 환자가 급증하자 보건 당국이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 비축분을 긴급 방출할 방침이라고 CTV가 8일(현지시간) 전했다. 캐나다 공중보건국은 최…
01-10
사회/문화
(사진출처: YTN 캡처) 한인 관광버스 추락12월30일 오전 10시30분쯤 캐나다 벤쿠버의 한인 여행업체 소속 전세 관광버스가 미국 오리건주 동부 눈길 고속도로에서 추락했다. 이 사고로 9명이 숨지고 26여명이 부상을 …
01-01
정치
김황식 국무총리는 4일(현지시간) 한-캐나다 수교 50주년 기념식 참석차 캐나다 오타와를 방문,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와 회담했다. 김 총리는 하퍼 총리와 회담에서 한-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 에너지·자원 …
12-07
이민/교육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이 미국 내 인원의 세배 캐나다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은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이 미국 내 인원의 세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27일 캐나다 이민난민국 자료…
11-29
정치
캐나다 최초의 한국계 연방 상원의원인 연아 마틴 의원이 `VOA’와 단독 인터뷰를 갖고 북한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마틴 의원은 북한의 변화를 희망하며, 북한 지도부가 주민들의 민생에 초점을 맞추기…
11-01
정치
캐나다 - 독일 정상, 유럽위기ㆍ통상협력 논의 메르켈 총리, 이틀간 캐나다 공식방문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15일(현지시간) 1박2일 일정으로 캐나다를 공식방문, 스티븐 하퍼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다.양국 …
08-18
목록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