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188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경제]

집값 40만 달러 미만에 먹고 살기 좋은 곳, '브랜포드' 1위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2-25 (토) 00:01 조회 : 64506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1349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평균 집값, 소득, 고용시장 실태 등 평가

토론토 및 밴쿠버, 5위권 안에도 못 들어

토론토와 밴쿠버가 집값 폭등으로 국내에서 살기좋은 도시 상위권에서 밀려나고, 온타리오주 브랜포드(Brantford)가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 21일 허핑턴 포스트에 따르면, 평균 집값과 소득, 몬트리얼 은행의 고용시장 실태 보고서등을 근거한 분석에서 토론토와 밴쿠버는 집값이 너무 비싸 5위권안에도 들지 못했다.  
현재 토론토와 밴쿠버의 집값은 평균 1백만 달러를 훨씬 넘어서 서민들이 집을 장만하기 거의 불가능한 곳으로 지적됐다.  
일례로 지난해 10월 연방정부의 새 모기지 대출 규정에 따라, 연 8만 달러 소득자가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이 38만 달러선으로 다운페이까지 감안할 때, 토론토에선 집 구입이 엄청나게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 캐나다 부동산 협회측은 “구입 희망자들이 토론토에서 먼 외곽으로 집을 찾아 나서고 있다”며, “브랜포드와 윈저 등이 인기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토론토 서부 브랜포드의 경우, 지난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불황으로 불경기를 겪었으나, 지금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몬트리얼 은행 보고서에서 고용시장 1위로 지목됐다.
이곳의 실업률은 4.7%로 일자리를 찾기가 한결 수월하고, 평균 집값이 지난달 38만6천716 달러로 40만 달러선 미만으로 집계됐다.

윈저지역은 지난해 12월 평균 집값이 전년동기 대비 9.2% 올랐으나, 21만7천 달러선으로 전국 평균치의 절반에 그쳤다.  

거주하기 좋은 도시 3위에 랭크된 오타와는 주택값이 39만4천 달러선으로 역시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몬트리얼과 핼리팩스도 집값이 각각 35만1천 달러선과 27만4천 달러선으로 구입자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각각 4위와 5위에 올랐다.  

몬트리얼 은행측은 “토론토의 집값 오름세가 최근 브랜포드와 윈저 등으로 퍼져가고 있다”며, “지금이 집 구입의 최적기”라고 지적했다.

4d928a534b8bfcecadbeaaa1817c8341_1487899

[집값 40만 달러 미만에 먹고 살기 좋은 곳, TOP 5]​

1위-브랜포드(Brantford, Ontario)

BMO 은행 고용시장 순위: 1위

평균 가구 소득: $73,082 

평균 모기지 대출 상환: $1,464

실업률: 4.7%

평균 집값: $386,716

4d928a534b8bfcecadbeaaa1817c8341_1487900

2위-윈저(Windsor, Ontario)

BMO 은행 고용시장 순위: 4위

평균 가구 소득: $76,260 

평균 모기지 대출 상환: $825

실업률: 5.4%

평균 집값: $217,926

4d928a534b8bfcecadbeaaa1817c8341_1487900

3위-오타와(Ottawa, Ontario)

BMO 은행 고용시장 순위: 5위

평균 가구 소득: $102,020

평균 모기지 대출 상환: $1,492

실업률: 5.7%

평균 집값: $394,001

4위-몬트리얼(Montreal, Quebec)

BMO 은행 고용시장 순위: 8위

평균 가구 소득: $75,010 

평균 모기지 대출 상환: $1,330

실업률: 4.0%

평균 집값: $351,255

5위-핼리팩스(Halifax, Nova Scotia)

BMO 은행 고용시장 순위: 12위

평균 가구 소득: $84,560 

평균 모기지 대출 상환: $1,038

실업률: 5.9%

평균 집값: $274,142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188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경제
4월 일자리 3천2백개 소폭 증가, 증가 추세 지속에 의미  4월 전국 실업률 전월 비해 0.2% 감소 6.5%, 경제불황 때보다 낮아  일자리 증가 불구 임금 상승 낮아, 물가 상승 및 금리 인상 요인 없어  전년 대…
05-15
사회/문화
앨버타, BC 및 새스캐처완 등, 서부주에서 큰 폭 감소 전국 2월 EI 수령자, 55만4천여 명으로 전월 대비 1만1천여 명 감소 2월 전국 실업보험(EI) 수령자 수가 서부 주의 감소세에 힘입어, 전달…
04-22
정치
BC주: 경제, 세금 상위권 vs 생활비, 범죄율, 보육, 임대료 하위권  재정분야, BC 1인당 311달러 흑자 vs 앨버타 마이너스 258 달러 실업률, BC 5.1% vs 앨버타 8.3% 최근 1년간 신규 일자리, BC 84,900개 증가 vs 앨버타 5,30…
04-22
사회/문화
캐나다 사회, 소득 불균형 B학점 vs 생활 만족도 A학점​​ 북유럽 복지 3국, 최상위 A학점 휩쓸어 소수 인종 및 이민자, 국내 태생 백인보다 소득 낮아 캐나다 사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그 점수는 B학점으…
04-14
사회/문화
전국 일자리 19,400개 증가, 95%가 풀타임잡으로 고용 질도 좋아  제조업 호조, 일자리 증가에 그대로 반영  앨버타주 석유 산업 남성직 증가, 온타리오주 서비스업 여성직 감소 졸업 시즌 앞두고 구직자 증…
04-14
경제
올해 1월 전국 평균 주급, 작년보다 1.8% 올라 앨버타주, 2015년 초 시작된 주급 하락세 주춤 국내 직장인의 평균 주급은 올해 1월 기준 967달러로 1년 새 1.8% 상승했다. 연방 …
04-08
사회/문화
작년 파산 신청자 7명 중 1명, 18~29세 청년층 청년층 부채 중 학비가 가장 큰 비중 파산 신청자, 평균 소득 2천 달러 vs 평균 부채 2만9천 달러   국내 청년 실업률, 지난해 전국 평균 14% 달해   국내 청년…
04-08
경제
C.D. 하우 연구소, "정부는 '연금 자산'의 구체적 운영 방안 마련해야" 높은 수익 계속 올릴 수 있다는 보장 없고, 적자 대비책 제시 없어  연방 자유당 정부가 밀레니엄세대를 주대상으로 은퇴 생활비를 늘리…
04-08
사회/문화
조직효율성 위해, 합병 시 예상됐던 잉여인력 정리과정일뿐 에너지시장 조금씩 개선, 신규인력 채용에 긍정 조짐 나타나기 시작 국제 유가 및 국제 경제 살아나고, 국내 경제 지표도 개선돼 대형 에너지 기업인…
04-08
경제
월 GDP, 전월 대비 0.6% 및 전년 대비 2.3% 성장 20개 분야 중 15개 성장, 수출 및 제조업 호조 석유산업 부진으로 인한 어려운 시절은 지난듯 기준 금리 내년까지 변동 없을 전망 올해 1월에 국내 GDP가 예상을 뛰어 …
04-08
정치
트뤼도 자유당 연방정부의 2번째 예산안이 발표가 됐는데 중산층을 강화시키는데 방점을 두었다. 연방 빌 모누 재경부 장관은 22일 연방예산안을 발표했다. 2017년도 예산안에서 연방정부는 우선 일자리를 창출…
03-25
사회/문화
취업난 속 대학 진학 열기는 더해, 유망 전공 아닐 경우 취업과 무관  인문계 졸업자 취업난 극심, 공대 졸업자도 일자리 찾기 힘들어  고용주 대다수 경력자 선호, 재학 시 산업연수도 한 방법 국내 청년…
03-18
사회/문화
2월 일자리 1만5천개 늘어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가 1만5천300개 늘어 실업률이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6.6%로 개선됐다. 캐나다 통계청은 10일 월간 고용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 기간 일자리가 2천500개 증가할 것이…
03-11
사회/문화
지난 한해 캐나다에서 임금이 가장 많이 오른 직종은 정보·문화 산업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정보·문화 분야 직종 평균 임금이 주급 기준 1천350.48캐나다달러(약 117만 원)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1…
03-04
경제
비금융 산업, 17개 부문 중 14개 부문 이익률 상승세 오일 및 가스 추출업, 전분기보다 10억 달러 이상 손실 줄어 금융 산업, 전분기 대비 5.7% 상승으로 호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
02-25
사회/문화
최근 5년 전부터, 임대조건으로 '재산보험' 요구 사례 증가 재산 보험료, 월 평균 15달러선으로 저렴하므로 가입하는 게 안심  최근 아파트 등 임대주들이 입주 신청자들에 대해 '재산 보험(Property Insurance)' 가…
02-25
경제
평균 집값, 소득, 고용시장 실태 등 평가 토론토 및 밴쿠버, 5위권 안에도 못 들어 토론토와 밴쿠버가 집값 폭등으로 국내에서 살기좋은 도시 상위권에서 밀려나고, 온타리오주 브랜포드(Brantford)가 1위 자리를 차…
02-25
사회/문화
응급실 의사 진료까지 4시간 이상 대기 29%, 선진국 평균 3배 전산화 미비로, 전문의 진찰까지 4주 이상 대기 56% 저소득층 약값 감당 못 해, 약 구입 포기 18세 이상 성인 1/4, 비싼 치과 비용에 치료 포기 응답자 3/4…
02-24
정치
'학비융자 프로그램(CSLP)' 상환 연체액, 1억7천8백4십만 달러 탕감 졸업 후 빚쟁이 신세 대졸자, 3만2천5백여 명 혜택  보수당 이어, 자유당 정부도 환수하려다 비난여론에 보류 중 탕감 등록금 매년 뛰고, 청년…
02-18
경제
전국적으로 실업급여(E.I) 수급자 수가 늘어났다. 연방 통계청의 작년 12월 실업급여 통계 자료에 따르면, 수급자 숫자는 56만 8천 명으로 작년 11월과 비교해 보면 3,200명(0.6%)이 감소했다. 주별로 보면, 새스캐처완…
02-18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