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189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이민/교육]

신규 이민자들, 익스프레스 엔트리 통한 이민 선호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5-07 (일) 04:31 조회 : 38880
글주소 : http://cakonet.com/b/B04-1476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한인 EE 이민자 총 786명으로 9위, 2015년에 비해 180명 늘어나

EE 이민자 1위 인도, 이어 중국, 필리핀, 영국, 미국 순 

중국, 필리핀 제치고 2위로 올라서 

파키스탄, 영어 공용어 혜택으로 8위 올라  

EE 이민자 선호 정착지역, 1위 온타리오 이어 BC, 앨버타 순

fd04168b4d1e3857064ae94df7d60f26_1493982

연방 이민부(IRCC​: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는 최근 2016년 익스프레스 엔트리(EE) 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EE를 통해 캐나다로 이민 온 한인 신규 이민자의 숫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 Top10 국가들의 순위에서는 2015년 8위에서 지난해에는 9위로 한계단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IRCC의 자료에 의하면, EE를 통해 캐나다로 이민 온 신규 이민자 Top10 중 인도가 1만499 명으로 전체 비율 33%를 차지했다.- 인도는 2015년에는 6,348 명으로 전체 22%를 차지했었다 - 2위는 중국으로 2,659 명(8%), 3위는 필리핀 1,593 명(5%), 4위는 영국 1,395 명(4%), 5위는 미국 1,155 명(4%) 등이다. 

한국은 786 명으로 9위, 전체 비율 2%를 차지했으나, 2015년의 606 명에 비해서는 180 명 가량이 늘어났다.

이번 통계의 특이사항은 2015년 3,574 명으로 종합 순위 2위를 차지했던 필리핀이 3위로 물러났고, 대신 중국(2015년 1,678 명)이 2위로 올라섰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EE 통계 자료에서 10위권에 들지 못했던 파키스탄이 새롭게 부상해 한국보다 많은 898 명으로 8위를 차지했다는 것 역시 눈에 띄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이민 관계자는 “인도와 마찬가지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파키스탄이 EE 제도의 혜택을 보고 있다”고 전했다.

EE 통계 자료 Top10을 분석했을 때, 2015년에는 상위 10위권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63%로 총 1만7,723 명이었으나, 2016년에는 69%로 총 2만1,858 명으로 늘었다. 이는 신규 이민자들의 EE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EE를 통해 이민 온 신규 이민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으로는 여전히 온타리오가 1위(1만5,366 명)를 차지했으며, BC(9,645 명)와 앨버타(9,178명)가 그 뒤를 이었다. 

특이 사항은 새스캐처완주와 노바 스코샤주의 경우 각각 3,541 명과 2,386 명으로 전체 이민자 대비 EE 이민자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민 관계자는 “새스캐처완과 노바 스코샤는 EE와 연계된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해 추가 점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189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이민/교육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외국인의 이민을 금지하는 법안이 낡은 규정일 뿐 아니라 캐나다가 추구하는 가치에 맞지 않기 때문에 폐지돼야 한다는 의견이 최고위 관계자로부터 제기되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캐나…
11-30
이민/교육
인구 고령화 해소하고 혁신 선도·경제 강화 기대 캐나다 자유당 정부가 이민 정책을 적극 확대, 향후 3년 간 이민자를 100만 명 가까이 수용할 계획이다. 아메드 후센 이민부 장관은 1일 하원에 제출한 정부의 새 …
11-02
이민/교육
2016인구센서스…필리핀 출신 으뜸, 한국인은 1.8%로 10위 지난해 현재 캐나다의 이민자 인구 비율이 전체의 21.9%를 차지, 85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25일 5년 주기로 실시한 20…
10-31
이민/교육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한 사람들 중에서 상당수는 시민권까지 딸 계획을 갖고 있다. 시민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거주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연령대에 따라 영어자격 기준을 갖춰야 하고 또한 캐나…
10-07
이민/교육
"고숙련 이민자 받자" vs "난민 유입 우려" 캐나다에서 미국이 '불법체류 청년 추방유예'(DACA) 제도를 폐지하면 오갈 곳이 없어질 고숙련 노동자들을 받아주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캐나다의 라트나 오미…
09-08
이민/교육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 가구는 평균적으로 교육비로 일년에 1,502달러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의하면 2014년을 기준으로 캐나다 가구들은 평균 교육비로 1,502달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
09-08
이민/교육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자녀들이 사는 외국을 돌아다니며 떠돌이처럼 생활하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밴쿠버 역시도 외국인 부모나 조부모들이 이 곳에서 공부하거나 생활하는 자녀나 손주들과 많은 …
08-26
이민/교육
캐나다의 친 이민정책에 힘입어 밴쿠버가 실리콘벨리에 이은 하이테크 기업들의 새로운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밴쿠버는 미국과 비교해 집값이 비싼데다 연봉도 낮다 보니 해외 우수인재 유치 경쟁에서 …
08-14
이민/교육
영어 시험 요구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시험을 통과하지 못해 시민권 신청이 반려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일 일간지 '스타'는 이같이 보도하고 지난달 연방 자유당 정…
07-08
이민/교육
최종 서류 제출자 7백여 명 그쳐, 이민부 추가 추첨 검토 연방 이민부가 가족초청 신청 과정의 공평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연말부터 시행 중인 추첨제가 오히려 혼란만 빚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07-08
이민/교육
최근에 캐나다 영주권을 소지한 유럽인과 호주인들 중에서 영주권을 포기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밴쿠버와 토론토의 이민전문 변호사들은 독일과 영국, 프랑스, 그리고 호주 출신 캐나다 …
07-08
이민/교육
이례적으로 한 달만에 선발한 이번 선발의 선발 커트라인 점수는 449점으로, 직전 선발보다 36점이나 올랐다. 6월 6일에 개정된 프랑스어 능력 추가점수 및 …
07-01
이민/교육
연방하원 이민 소위원회가 이민 컨설턴트에 대해 정부가 직접 감독해야 한다는 건의안을 내놓았다. 최근 해당 소위는 “현행 자율기구인 '이민 컨셜턴트 위원회'가 당초 기능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정부…
06-24
이민/교육
고용주 선호 전공 첨단분야 국한, 전공 살릴 직장 찾기 ‘바늘구멍’ ​ 일부 경제 전문가들, 국내 대학들 고용시장 변화 외면 취업난 부채질 국내 대졸자 10명중 4명꼴이 학위를 받…
06-03
이민/교육
2010년 영주권자 28.9%, 취업비자 입국 출신  임시 노동자 출신, 처음부터 영주권자보다 소득 갈수록 높아져 후진국 또는 개도국 출신 노동자, 절실히 원해서 영주권 취득 더 높아 캐나다 영주권…
06-03
이민/교육
'트럼프 효과' 등 정치적 원인보다, 루니 약세 등 경제적 요인 더 커  비싼 국제학생 학비 감안해도, 미국 학비가 배 이상 비싸  유학생 급증, 이민자 수 증가에도 영향 미칠듯 루니화의 약세와 도널드 트…
06-03
이민/교육
연방 기술직 이민 부문별 선발 실시, EE 점수 커트라인 199점 불과  쿡, 미캐닉, 카펜터 등, 한인 이민 신청자 주요 직군 포함돼 기대 상승  파격 선발 단행 배경, 국내 노동시장 요식업 종사자 부족 현상 분…
06-03
이민/교육
새 규정 작년 11월부 시행, 이중국적자 입국 시 여권 항상 소지해야   이중국적자 여권 신청 폭주, 발급 기간 두 배 이상 지연  65세 이상 이중국적 한국인, 새 규정 적용 대상 포함 국내 이중국적자들이 새…
06-03
이민/교육
캐나다, 주요 선진국 중 유일하게 '졸업 후 취업 프로그램' 운영   취업 허가증 취득 유학생, 지난해 10만1천 명  연방 정부의 유학생 정착 권장, 유학생 급증 추세  유학 비자 발급국 순위, 1위 인도 이…
05-20
이민/교육
미국행 IT 인력들 국내로 유인 위해, 신청부터 취업 허가까지 단 2주 급행이민 취업허가까지 6개월이나 걸려, IT 업계 개선책 요구  연방 자유당 정부, "주기적 평가 후, 제도 자체 손질해 나갈 것"  신민당,…
05-20
목록
 1  2  3  4  5  6  7  8  9  10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