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로그인
    • 소셜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로그인연동 서비스로 본 사이트에 정보입력없이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소셜로그인 자세히 보기
라이프
Calgary booked.net
-29°C
총 게시물 420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건강]

더위를 이기는 선조들의 지혜로운 여름 건강식

글쓴이 : nicholas 날짜 : 2013-07-03 (수) 01:05 조회 : 32136
글주소 : http://cakonet.com/b/B19-457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소서, 더위가 가장 심하다는 대서까지 여름 기운이 한창일 때는 허해진 몸을 보할 수 있는 음식을 챙겨야 한다. 보양 음식으로 기운을 돋우고 시원한 음식으로 더위를 이겨내는 것이다. 햇볕 쨍쨍 내리쬐는 여름, 조상들은 어떤 음식으로 여름을 났을까. 한여름 지친 몸의 기력을 살렸던 선조들의 지혜를 맛본다.

임자수탕 체면을 중시하는 양반들은 뜨거운 음식 대신 얼음을 넣은 찬 음식을 먹고 체면을 차리는 피서를 즐기곤 했다. ‘임자’는 깨를 말하며 한방에서는 ‘거승’이라 하여 달리는 말도 따라잡는 힘을 준다는 보양 재료다. 임자수탕은 닭 삶은 육수로 깻국을 만든 뒤 닭살과 쇠고기 완자, 버섯 등의 재료를 넣어 시원하게 먹을 수 있는 여름 보신 음식이다.

재료 닭 1마리, 배·오이·달걀 1개씩, 불린 표고버섯 2개, 대파 1대, 생강 3쪽, 마늘 3톨, 밀가루·소금·후춧가루 약간씩, 달걀물·식용유 적당량, 물 12컵, 닭고기 양념(깨소금 1큰술, 국간장·다진 파·다진 마늘 1작은술씩, 생강즙 1/2작은술, 후춧가루 1/4작은술, 소금 약간), 깻국(닭 육수 6컵, 볶은 깨 1컵, 잣 1/4컵, 소금 약간), 쇠고기 완자(다진 우둔살 50g, 두부 20g, 소금·흰 후춧가루 약간씩)

만들기 1 닭은 꽁지와 날개 끝을 썰어내고 지방과 핏물을 깨끗이 제거한 뒤 찬물에 씻어 건진다. 2 큼직한 냄비에 분량의 물을 부어 끓이다 손질한 대파와 생강, 마늘을 넣고 5분 정도 더 끓인 뒤 ①의 닭을 넣고 푹 삶는다. 3 ②의 닭이 푹 삶아지면 건져서 살만 발라내 분량의 닭고기 양념에 무친다. 닭 삶은 국물은 고운체에 거른 뒤 식힌다. 4 깻국 재료 중 볶은 깨와 잣을 믹서에 넣고 ③의 닭 육수 6컵을 부어 곱게 간 다음 면포에 걸러 깻국을 만든다. 소금으로 간한 뒤 냉장고에 차게 둔다. 5 배와 오이는 껍질을 벗겨 1×4cm 크기로 납작하게 썬다. 6 불린 표고버섯은 물기를 꼭 짜고 갓만 준비해 1×4cm 크기로 썬 뒤 소금으로 간하고 팬에 볶아 식힌다. 7 달걀은 황백으로 나눠 지단을 부치고 식으면 1×4cm 크기로 썬다. 8 두부의 물기를 꼭 짜서 볼에 넣어 으깨고 다진 쇠고기를 함께 넣어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해 끈기가 생기도록 치댄 뒤 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완자를 만든 다음 밀가루와 달걀물을 입혀 식용유를 두른 팬에 굴려가며 익힌다. 9 차가운 그릇에 ③의 양념한 닭살을 담고 준비한 ⑤의 배와 오이, ⑥의 표고버섯, ⑦의 황백 지단, ⑧의 쇠고기 완자를 고명으로 올린 뒤 ④의 차게 둔 깻국을 붓는다.

월과채 ‘월과’는 애호박의 고어로 애호박이 제철인 여름에 굵직하게 썰어 볶아 먹던 요리다. 여름철에는 당면으로 만든 잡채가 쉽게 상하므로 당면 대신 애호박을 많이 넣고 차전병, 쇠고기, 버섯, 채소 등을 채썰어 함께 볶아 만든다.

재료 애호박·불린 목이버섯·달걀 1개씩, 쇠고기(우둔살) 80g, 불린 표고버섯·석이버섯 2개씩, 잣·잣가루·실고추·소금 약간씩, 식용유 적당량, 쇠고기 양념(간장 4작은술, 설탕·참기름 2작은술씩, 다진 파·깨소금 1작은술씩, 다진 마늘 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차전병(찹쌀가루 1/2컵, 뜨거운 물 2큰술, 소금 약간) 만들기 1 애호박은 6cm 길이로 썰어 씨 부분을 숟가락으로 긁어낸 뒤 굵게 채썬다. 2 쇠고기와 각종 버섯은 6cm 길이로 곱게 채썰어 분량의 쇠고기 양념을 조금씩 각각 나눠 넣고 밑간한다. 3 달걀은 황백으로 지단을 부쳐 곱게 채썰고 실고추는 먹기 좋은 길이로 썬다. 4 볼에 찹쌀가루와 뜨거운 물, 소금을 넣어 익반죽하고 조금씩 떼어 얇고 동그란 모양을 만든 뒤 달군 팬에 식용유를 약간 둘러 부쳐 차전병을 만들고 채반에 식힌 다음 굵게 채썬다. 5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①의 애호박을 넣고 소금 간해 볶아 식히고 ②의 쇠고기와 버섯도 각각 물기 없이 볶아 식힌다. 6 볼에 ⑤의 애호박과 쇠고기, 버섯, ③의 지단채를 넣어 고루 섞고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한 뒤 그릇에 담고 잣과 잣가루, ③의 실고추를 뿌린다.

Tip 차전병은 되직하게 반죽해서 팬에 구운 뒤 한 장씩 채반에 말려야 달라붙지 않는다.

규아상 여름에 먹는 찐만두로 해삼 모양으로 빚었다 해서 ‘미만두’라고도 한다. 소는 쇠고기와 여름 채소인 오이로 만들며, 일반 만두와 달리 소를 볶아서 익히기 때문에 잘 쉬지 않는다. 선조들은 규아상을 낼 때 규아상 밑에 담쟁이 잎을 깔아 시원하게 장식하기도 했다.

재료 쇠고기(우둔살) 200g, 오이·불린 표고버섯 3개씩, 잣 1큰술, 밀가루 2컵, 물 3/4컵, 소금 약간, 쇠고기 양념(간장 1큰술, 깨소금 2작은술, 다진 파·다진 마늘·설탕·참기름 1작은술씩, 후춧가루 약간), 오이 양념(다진 파 2작은술, 다진 마늘·깨소금·참기름 1작은술씩), 초간장(간장·물·식초 1큰술씩, 매실청 1작은술)

만들기 1 밀가루에 물과 소금을 넣고 끈기 있게 치댄 뒤 젖은 면포에 싸서 냉장고에 잠시 둔다. 2 쇠고기와 불린 표고버섯은 3cm 길이로 곱게 채썰어 분량의 쇠고기 양념을 각각 나눠 넣고 양념한 뒤 팬에 달달 볶아 식힌다. 3 오이는 3cm 길이로 썰고 돌려깎아 곱게 채썬뒤 소금 1작은술을 뿌려서 절여 물기를 꼭 짠 다음 분량의 오이 양념에 무치고 달군 팬에 달달 볶아 식힌다. 4 ②의 쇠고기와 표고버섯, ③의 오이를 섞어 소를 만들고 잣은 고깔을 떼고 길게 반 갈라 비늘잣을 만든다. 5 ①의 반죽을 떼어 지름 약 10cm의 동그란 피를 만들고 ④의 소와 비늘잣을 넣고 오므려 해삼 모양으로 주름을 잡는다. 6 한 김 오른 찜통에 ⑤의 만두를 넣어 10분 정도 찌고 따끈할 때 참기름을 발라 한 김 식힌 뒤 분량의 재료를 섞어 만든 초간장을 곁들인다.

민어지짐이 옛 서울의 풍족한 집안에서는 복날 삼계탕 대신 민어지짐이나 육개장을 끓여 복 잔치를 했다. 민어는 산란기를 앞둔 여름에 가장 기름지고 맛있어 보양 재료로 쓰기도 했다. 찹쌀고추장을 풀어 매콤하게 지져낸 민어지짐이는 대표적인 서울 음식으로 기름진 민어를 칼칼하게 먹을 수 있는 요리다.

재료 민어 1마리, 쇠고기(우둔살) 100g, 애호박·홍고추 1/2개씩, 느타리버섯 5개, 대파 1/2대, 청양고추 2개, 쑥갓 5대, 굵은소금 약간, 쇠고기 양념(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1/2큰술, 국간장 1작은술), 국물(다시마 국물 6컵, 찹쌀고추장 2큰술, 국간장 1큰술, 고춧가루 1과 1/2큰술, 된장·다진 생강 1작은술씩, 굵은소금 1/2작은술, 후춧가루 1/5작은술)

만들기 1 민어는 비늘을 긁고 내장을 정리해 8cm 길이로 토막 낸 뒤 흐르는 물에 씻고 물기를 뺀 다음 굵은소금을 살짝 뿌려 10분 정도 절인다. 2 쇠고기는 납작납작하게 썰어 분량의 쇠고기 양념에 무친 뒤 냄비에 볶아 식힌다. 3 애호박은 반달 모양으로 썰고 느타리버섯은 손으로 쪽쪽 찢는다. 4 대파와 청양고추, 홍고추는 어슷썰고 쑥갓은 여린 줄기만 떼어 준비한다. 5 쇠고기를 볶은 냄비에 분량의 국물 재료를 넣어 한소끔 끓인다. 6 국물이 끓어오르면 ①의 민어와 ③의 애호박, 느타리버섯을 넣고 민어가 익을 정도로 끓인다. 7 민어가 익으면 ④의 대파와 청양고추, 홍고추를 넣고 끓인 뒤 마지막에 쑥갓을 넣고 불을 끈다.

잣국수 여름엔 콩국수도 좋지만 콩 대신 잣을 곱게 갈아 만든 고소함을 살린 시원한 잣국수도 별미다. 잣은 가평 지방이 주산지로, 장기간 먹으면 피부와 모발이 윤택해지고 불로장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재료 소면 300g, 오이 1개, 산딸기(혹은 방울토마토) 4개, 잣 2컵, 볶은 땅콩 1/2컵, 생수 6컵, 무순·소금 약간씩

만들기 1 잣은 고깔을 떼어 믹서에 넣고 볶은 땅콩과 생수를 함께 넣어 곱게 간 뒤 냉장고에 차게 보관한다. 2 오이는 곱게 채썰고 무순은 줄기 끝만 다듬는다. 산딸기는 물에 한 번 헹군다. 3 소면은 끓는 물에 쫄깃하게 삶고 찬물에 바락바락 헹군 뒤 사리를 지어 그릇에 담는다. 4 소면 위에 ②의 오이와 무순, 산딸기를 고명으로 올리고 ①의 잣 국물을 붓는다. 기호에 따라 소금으로 간한다.

초교탕 ‘초’는 ‘약초 초’자로 도라지를 말한다. 인삼 대신 도라지를 넣어 기운을 돋우고 목과 폐의 건강을 살리는 음식이다. 여름 보양 재료인 닭을 푹 삶은 육수에 닭살과 도라지, 버섯 등을 넣어 끓여 먹는 든든한 여름 보양식이다.

재료 닭 1마리, 도라지 5개(100g), 불린 표고버섯 2개, 달걀·양파 1개씩, 대파 1과 1/2대, 마늘 6톨, 밀가루 2큰술, 국간장 1큰술, 소금 약간, 물 12컵, 닭 양념(다진 파·소금·참기름 1작은술씩, 다진 마늘 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1 닭은 꽁지와 날개 끝을 썰어내고 지방과 핏물을 제거한 뒤 찬물에 씻어 건진다. 2 끓는 물에 양파와 마늘, 대파 1대를 듬성듬성 썰어 넣고 5분 정도 끓인 뒤 ①의 닭을 넣고 푹 삶는다. 3 닭은 건져 살을 발라내어 분량의 닭 양념에 무치고 국물은 고운체에 거른다. 4 도라지는 껍질을 벗기고 3cm 길이로 곱게 채썰어 옅은 소금물에 담가둔다. 5 불린 표고버섯은 곱게 채썰고 달걀은 곱게 풀어 체에 거른다. 대파 1/2대는 송송 썬다. 6 볼에 ③의 닭살과 ④의 도라지, ⑤의 표고버섯을 담고 밀가루와 ⑤의 달걀을 넣어 잘 버무린다. 7 ③의 닭 육수를 냄비에 붓고 한소끔 끓인 뒤 국간장을 넣어 간한 다음 ⑥의 건더기를 한 수저씩 떠 넣어 익히고 마지막에 ⑤의 송송 썬 대파를 넣는다.

Tip 끓는 육수에 건더기를 넣을 때는 불을 줄여야 건더기가 지저분하게 풀어지지 않는다.

밀전병말이 밀전병말이는 구절판으로 먹기도 하는데 구절판은 오방색, 모든 것을 갖춘 수 9, 음양오행 등 한식의 전통 사상이 모두 깃든 어우름의 음식이다. 햇밀이 나는 초여름에는 ‘밀고사’라 하여 밀전병, 밀쌈, 구절판, 부침개 등 밀가루 음식으로 고사를 지내던 풍습이 있었다.

재료 쇠고기(우둔살) 80g, 불린 석이버섯 10개, 오이 1/2개, 당근 1/3개, 죽순 1/4개, 불린 표고버섯 3개, 달걀 2개, 밀가루·물 1컵씩,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식용유 적당량, 쇠고기 양념(간장 2작은술, 설탕·다진 파·참기름 1작은술씩, 다진 마늘·깨소금 1/2작은술씩, 후춧가루 약간), 초간장(간장 2큰술, 물·식초 1큰술씩, 설탕·잣가루 1작은술) 만들기 1 쇠고기와 불린 표고버섯은 곱게 채썰어 분량의 쇠고기 양념을 각각 나눠 넣고 조물조물 무친 뒤 달군 팬에 볶아 식힌다. 2 오이와 당근은 5cm 길이로 썰고 돌려깎아 곱게 채썬 뒤 소금에 살짝 절였다가 물기를 짜고 달군 팬에 볶아 식힌다. 3 죽순은 5cm 길이로 곱게 채썰고 불린 석이버섯은 곱게 채썰어 각각 소금으로 간해 팬에 볶아 식힌다. 4 달걀은 황백 지단을 부쳐 5cm 길이로 곱게 채썬다. 5 밀가루에 물을 붓고 소금을 약간 넣고 잘 풀어 고운체에 내린 뒤 팬에 식용유를 약간 두르고 얇게 밀전병을 부친다. 6 ⑤의 밀전병에 ①의 쇠고기와 표고버섯, ②의 오이와 당근, ③의 죽순과 석이버섯, ④의 지단채를 올려 돌돌 말고 한 김 식으면 한 입 크기로 썬다. 7 ⑥의 밀전병말이를 접시에 담고 분량의 재료를 섞어 만든 초간장을 곁들인다.

Tip 밀전병을 부쳐 식힐 때 사이사이에 잣가루를 뿌리면 서로 달라붙지 않아 떼어낼 때 편하다.

매실화채 매실은 허한 것을 보충하고 기를 수렴하며 갈증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여름철 기력 보충 음료로 좋다. 예전에는 여름이 되면 ‘제호탕’이라 하여 말린 매실(오매)이 들어간 보양 음료를 임금이 대신들에게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

재료 수박 1/8개, 참외 1개, 절인 매실 3큰술, 얼음 약간, 생수 3컵, 탄산수 1컵, 매실청 6큰술

만들기 1 수박과 참외는 잘 씻어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한 입 크기로 작게 썰거나 꽃모양 틀로 찍는다. 2 생수에 탄산수와 매실청을 섞어 화채 물을 만들어 냉장고에 넣어둔다. 3 그릇에 ①의 수박과 참외, 절인 매실, 얼음을 담고 ②의 시원한 화채 물을 붓는다.

보리수단 햇보리에 녹두 녹말가루를 입혀 부드럽게 한 뒤 빨간 오미자 국물에 띄운 여름 전통 음료다. 빨간 국물에 흰 보리가 동동 떠 있는 모습이 먹기 아까울 정도다. 보리는 서늘하고 소화를 촉진하는 성질이 있어 여름철 갈증이 날 때는 물론 더위로 소화가 안 될 때 마시면 좋다.

재료 보리 5큰술, 녹두 녹말가루(혹은 감자 녹말가루) 1/2컵, 잣 1큰술, 오미자 우린 물 4컵, 설탕 시럽 6큰술, 꿀 4큰술 만들기 1 보리는 찬물에 바락바락 문질러 여러 번 씻어 냄비에 담고 물을 넉넉히 부어 푹 삶은 뒤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다. 2 ①의 보리에 녹두 녹말가루를 골고루 입히고 끓는 물에 다시 한번 삶아 건진 뒤 찬물에 헹구는 과정을 5, 6회 반복해 보리에 투명하고 통통하게 녹말 옷을 입힌다. 3 차가운 오미자 우린 물에 설탕 시럽과 꿀을 잘 섞고 ②의 보리와 잣을 동동 띄운다.

Tip 삶은 보리에 녹말가루를 입힐 때 물기를 완전히 뺀 뒤에 다시 녹말가루를 덧입혀야 옷이 투명하게 잘 입혀진다. 오미자 우린 물은 오미자:물=1/2컵:5컵 비율로 만들며, 하루 전 오미자를 물에 담가 미리 준비해서 냉장고에 넣어 차게 둔다. 설탕 시럽은 설탕:물=1:1 비율로 만든다.

[출처:레이디경향]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7-03-15 13:53:24 리빙센스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20-01-26 18:56:55 건강에서 이동 됨]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물 420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이민/유학
안녕하세요 PEAK CANADA 유학공사의 전아나원장입니다.오늘은 퀘백주 몬트리올내에 있는 사설어학원 ALI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학교는 1993년에 …
02-28 26184
이민/유학
캐나다 임시허가 비자 소지자가 주의할 점임시허가 비자라고 하면 한정된 기간 동안 비자의 내용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승인된 허가이며, Work permit, Stu…
02-26 23301
영화와 수다
남산의 부장들개봉: 2020년 1월 22일감독: 우민호주연: 이병헌, 이성민, 곽도원, 이희준 등느와르 영화의 대가 우민호 감독의 3부작 (마약왕, 내부자들, 남…
02-25 15198
리빙센스
이제 SkipTheDishes에서 와인 한 병을 포케 보울이나 피자와 함께 주문할 수 있습니다.회사 대변인은 스킵더 디쉬 앱이 이제 캘거리, 에드먼턴 및 포트 맥 …
02-19 22593
영화와 수다
아메리칸 뷰티 (American Beauty)감독: 샘 멘데스주연: 케빈 스페이시, 아네트 베닝개봉: 1999년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이라는 감동을 뒤로 …
02-15 18390
영화와 수다
잔치 잔치~!
02-10 12357
영화와 수다
92년간 보수주의 영화제로 알려져 있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국제장편영화상, 각본상 등 4관왕을 달성…
02-10 19653
건강
AHS(앨버타 보건 서비스)는 홍역이 확진된 사람의 행동반경이 세인트 앨버트와 에드먼튼 이었고 이에 지정된 날짜와 시간에 아래 위치에 있던 사람은 …
02-08 21816
건강
레몬과 생강으로 다이어트하기레몬과 생강은 건강한 체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하룻밤만에 살이 빠지는 기적의 다이어트법은 …
02-07 30837
건강
지난달 13일 서울대병원 강남센터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닥터 스누지’에는 정선근 재활의학과 교수가 출연했다. 정 교수는 “허리가 아픈 것은 …
02-07 22218
건강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 불명의 페렴환자 27명을 격리치료 발표함으로써 알려지게 되었기에 우한 폐렴이라고도 명칭한다. …
02-01 14175
영화와 수다
제목: 천문 (하늘에 묻는다)주연: 최민식, 한석규, 신구, 허준호 등등개봉일: 2019년 12월 26일오늘은  2019년 12월 크리스마스 다음날에 개봉했던 최민…
01-29 18582
영화와 수다
나의 죽음이 나의 삶보다 가치 있기를!!영화 조커 (JOKER) 에서 주인공인 아서 (Arthur) 가 일기장에 남긴 말이다.극단적인 자살에 대한 암시다. 암울하고 …
01-26 21999
영화와 수다
우리가 흔히 최고의 반전 영화라고 말하는 두 편의 영화를 꼽으라면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1999년 작 식스센스 (Six Sense) 와 브라이언 싱어 감독의 1995…
01-26 20361
영화와 수다
우리는 가끔 지인들과의 술 자리에서 진실게임 이라는 것을 하게 된다. 잠깐 동안의 취기로 인해 상대방에 대한 호기심이 극도에 다다랐을 때 한잔의 …
01-26 17973
목록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