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5< 정 소성 교수를 추모하며>
존경하는 친구 정 소성 교수를 먼길 떠나보낸 이 마음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까 애절한 마음에서 추모시 한편을 남겨본다.
끈의 연결선은 끊을 수 없는 끈이다/허물어진 석양에 머리숙인 너는 갔다/어쩔 수 없는 그리움의 반항으로/바람은 불어 선회하는/ 세월의 그늘에서/침잠하는 별빛 하나 눈물로 아롱진다/그 것이 인생이라는 절규로/너는 변함의 영속선에서/변화하지 않는 우주 속을 날고있는 새 한 마리/창공을 너의 그 것으로 포용하는 슬기로/청아한 눈동자로 나를 응시하는구나/그 주옥 같은 영원을 노래하는 글 한 줄/ 어찌 하라는 말인가/
너는 말했다/우리는 이 세상 떠날때 까지 배고픈 직업을 가졌음이/얼마나 자랑스러우냐고/나를 다독였었지/아비규환과 같은 삶의 뒤안길에서/너의 자랑 나의 고난을 자랑하며/막걸리 잔을 기울이던 인사동 옥정의 한정식 집/마지막의 너와 나의 한탄의 눈물이/반항하는 술잔에 용해되어 허공을 멤돌고/ 내 눈에 고인 눈물 속에/ 독백의 시가 흐른다/
<시작의 산실>
내가 젊은 나이에 이방인이 되었으니 동향이래도 그를 만남이 늦어졌음은 당연하리라. 오래전 조국을 방문했을 때 문학과 의식 발행인 <안 *숙> 소설가가 같은 고향 경상북도 두메산골의 생산, 정 소성교수와 만남을 가짐이 어떠냐는 제의에 고향 사람이 동인 문학상을 받은 소설의 훌륭한 작가라함에 나의 호기심은 배가되어 자리를 같이하게 되었다.< 안 *숙? 여사와 자리를 같이한 그날은 봄비가 내리는 한 낮 우리는 일식 집에서 오찬을 같이하며 같은 고향이라 금방 가까운 친구 관계로 발전을 했었다. 이 역병이 세상을 난자하기전 봄 가을 두번씩 조국을 찾으면 언제나 3,4차레의 만남을 가졌었다. 해 맑은 눈동자의 정 교수는 큰 눈을 부릅뜨고 빤히 서로를 응시하며 인사동 옥정이라는 한정식 집 막걸리 잔을 기울였다. 민초 우리는 배가 고픈 직업이지만 한평생 우리의 생존을 관조할 수 있는 직업을 가졌으니 얼마나 다행이냐며 나를 격려했다.
그는 지난해 말 나의 카페에 올리던 글이 오르지 않아 궁금증이 있던차 그의 절친 친구 <서 *훈>옛적 영남일보 논설실장의 친구께서 그가 코비드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왔다. 이 경천동지할 현실 앞에 나는 망연자실을 하며 그 님을 원망도 했다.
돌이켜 보면 내가 그와 사귀어 온 정에 사람 구실을 못한 것 같은 죄스러움이 나를 괴롭히기에 상기와 같은 추모시를 썼다.
민초 인생살이 다 그런거야 공수레 공수거니 때가 되면 미련 없이 떠나지뭐 하던 말이 귓전을 두둘긴다.
한번은 시청 앞 P호텔에 투숙하면서 조찬에 초대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때 그는 그의 소설 33권의 전집을 출간 중이라며 그 때까지 출간을 한 <설향, 운명,>등을 선물로 주었다. 그 때 나는 전집이 어느정도 출간되었을 때 촌지라도 드릴려 했던 나의 뜻은 이제 무위로 돌아갔음이 안타깝다. 책 꽂이에 꽂인 그의 저서를 보며 귀국을 하면 그의 내자를 꼭 만나리라늘 생각을 하며 안타까히 눈물 짓는다.
영면하시라 후학을 위하여 한평생을 헌신하며 나 같은 후학에게도 아낌 없는 격려와 지도를 해 주던 나의 친구 정 소성 교수 그는 s 대에서 불문학을 전공 파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대학에서 정년 퇴직을 한 내가 존경하는 고결한 인격의 소유자 였다.
인명은 제천이라지만 어쩌자고 그렇게 훌훌히 나를 두고 먼저 떠나셨나?. 민초 인생살이 다 그런거야 공수레 공수거니 때가 되면 미련 없이 떠나지뭐 하던 말이 야속하게 귓전을 두둘긴다. 역병은 아직도 인류를 괴롭히는데 멀지 않아 봄은 오리라.
아지랑이 아롱질 때 정 소성 교수의 해 맑은 눈동자는 나에게 말을 한다. 민초 우리도 경주의 목월과 동리의 문학관이 있듯이 고향 소수서원에 둘만의 작품을 전시하여 고향 후배들에게 이렇게 살다가간 선배들이 있었다는 문학관을 세우자고 몇번을 제의를 하던말이 나를 괴롭힌다. 그 은은하고 그윽한 웃음이 나의 심금에서 파도를 치누나.. 민초
이 유식 2021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