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로그인
    • 소셜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로그인연동 서비스로 본 사이트에 정보입력없이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소셜로그인 자세히 보기
문인의방
Calgary booked.net
-29°C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12 <2022년의 막장 달력을 뜯으며 2>

글쓴이 : 반장님 날짜 : 2022-12-15 (목) 09:17 조회 : 9573
글주소 : http://cakonet.com/b/writer-229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12

<2022년의 막장 달력을 뜯으며 2>


민족의 불멸의 시 만해선사의 님의 침묵을 음미해 본다. 오솔길 따라 영원히 떠난 님 그 님은 갔어도 민족은 님을 보내지 않았다는 절규를 우리 민족은 어이 잊으랴. 일제의 침탈을 조용히 울면서 외치는 이 심금을 어이잊으랴. 나는 조국과 민족의 미래와 현실을 이렇게 아름답고 뼈마디를 저리게 하는 선사의 시를 좋아한다. 누구가 알아주던 말던 진리의 길에서 그 하늘을 찌를듯한 지조와 웅지와 용기를 누가 논하랴 감히 나 같은 사람이 어이 이해하랴만 자기의 생존에서 해탈하고 초연한 심해와 같은 조국애 민족애에 나의 파도치는 심장을 자맥질하는 이 노래는 영원하리라.


선사님이 수도를 닦던 백담사 그 백담사에서는 해 마다 님을 그리는 만해문학제가 열린다. 그 문학제에는 조국의 저명한 선후배 시인님들이 모여 한 용운 님의 침묵을 그린다.<아 아 님은 갔지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않았습니다.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있습니다> 끝 연의 이 두항을 읽으면 숨이 막혀오고 가슴이 먹먹해 짐은 왜 일까? 님 그 님은 나의 조국이 일제의 침탈로 잃어버렸지만 우리는 조국을 버리지 않았다는 절규, 그 절규가 메아리처 조국은 해방이 되었고 우리의 조국은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 되었지 않았는가. 이런 선현들의 예언은 민족의 자긍심을 일깨워 주었기에 오늘의 조국이 있고 그 조국은 영원하리라 믿는다.


나는 평론가가 아니기에 님의 침묵의 한 용운 선사님의 시 감상은 여기에서 그치고 나의 기뻣던 기억하나, 년전 만해 문학제에서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이 혜선님이 나의 작품을 문학제에서 주제로 강론을 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에 나도 만해 선사님 작품의 흉내일까 나름대로 조국애에 대한 나의 시 <그림자>가 있다. 이 작품은 나의 졸저 뿌리의 140쪽에 나와 있는 그림자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옛적 전방의 군대생활 중에 초고를 썼던 것을 1979년 추고를 한후 발표한 작품이다.간단한 작품소개를 하면 이민 초기의 고난과 역경 속에서 조국을 그리며 민족애 조국애를 노래한 작품이다.어떤 독자들은 절절한 사랑시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사랑시 같지만 그 내면은 조국애 민족애를 그리는 작품임을 밝히며 여기에 소개를 해 본다.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당신을 잊을 수 없었습니다/ 나그네의 서러움도 아니였고/ 배 고품의 절규도 아니였습니다/ 모조리 아스라져 간 가슴 속에 당신의 검은 눈동자가 있었야 했고/ 버림 받은 착각 속에 허무한 인생을 더듬던 당신의 검은 머리카락이 있어야 했습니다//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수정 같은 눈물 속에/ 당신의 환영은 있어야 했고/ 얄팍한 지식과 기회에 억매이면서도/당신의 하이얀 살결은 있어야 했습니다//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위선 증오 시비에 휩싸이지 않으려고/ 팔닥이는 심장을 당신의 가슴 속에 응고 시켜야 했고/ 기약 없는 방랑의 길을 걸어야 했습니다/ 이렇게 될 줄을 알면서도/ 당신이 무작정 좋았습니다//


세월은 가고 나도 멀지 않아 흙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흙이 되지 않으리라. 위의 나의 시 그림자에서 밝혔듯이 검은 눈동자=민초들의 생존의지, 검은 머리카락=해외 750만 동포들에게 뿌려놓은 나의 진솔한 민족사랑의 영혼, 당신의 하이얀 살결= 백의 민족의 역사,수정같은 눈물=한생을 티없이 사랑했던 조국애 민족애. 이제 2022년의 막장 달력을 뜯어 내고 눈 쌓인 로키산을 본다. 끝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손해일 시인의 낭독 "다물"
04-04 9111
<마음의 창窓 1> 詩 언젠가 열리려나 하늘 보다 더 높은 삶의 빛 심해의 깊은 곳 수초의 흔들림 넓고 깊고 높은 그 이상理想의 파도여 무한의…
04-01 11184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8<샤를 보들레르의 영광과 고통의 생애> 1821년에 출생 1867년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시인 <보들레르>, 그의 …
03-24 9957
보이느냐 들리느냐 사랑이 저절로 익어 갈수 있나 사랑 안에 죽음 몇 억만개 사랑 안에 배신 몇 억만개 사랑 안에 분노와 희생의 꽃다발 사랑을 …
03-18 7962
제15회 민초해외동포 문학상 작품공모 목적 해외 750만 해외동포들에게 민족의 정체성 고양과 고유문화의 승계 발전에 일조코자 캐나다 캘거리시에 …
03-16 10470
해바라기가 무럭무럭 자라나는 끝없는 평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독일 프랑크 푸르트로 가는 기차를 타고 캐나다로 가는 긴 여정의 길이었다. 기억…
03-12 12945
바베이도 섬 20여년 전의 추억이다 카리브해의 동쪽 행복지수가 높은 민족 100불의 월수입에 만족을 찾으며 많고 적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사람들…
03-09 7371
캘거리 운계 박충선의 신작시 " 발자국이 거룩한 산지를 택한 사람들"
03-05 10266
운계 박충선 시인의 신작시 "나의 별 보이지 않아도"
03-05 6960
캘거리 운계 박충선의 신작시 " 그래서 눈은 내리나 보다"
03-05 7734
Estonia 에스토니아 발틱해 연안에 붙은 조그마한 나라 독일과 구 소련의 교차된 식민지 나라 지정학적 요인이 나의 조국과 같은 나라 구 소련이 …
03-02 7944
노년연금 민초 이 유식 시인 2005년 65년간 쌓여온 설움알알이 부서지는 허무의 샘물흘러 흘러온 고행의 터널돌고 또 돌아외로우면 하늘을 보고 눈…
02-20 8448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5< 정 소성 교수를 추모하며> 존경하는 친구 정 소성 교수를 먼길 떠나보낸 이 마음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까 …
02-17 9534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4<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 4> 여기에서 사랑과 문학은 생존이 있기에 문학의 갈 길을 찾는다. 신앙인은 자기…
01-23 9252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3 <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3> 나의 사랑시 한편을 소개 한다. 이 작품은 2010년 12월 16일자 대구신문에 좋은 시로 선…
01-13 9423
캘거리 시인 운계 박충선의 "물 위를 걸어 선창으로"
01-12 10992
캘거리 시인 운계 박충선의 바람에게 물어본다
01-12 9255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2 <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 2> 서양의 그리스도교의 문화권은 동양보다는 조금 늦은 기원 후부터 사랑을 둘…
01-06 11550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1 <생존,그리고 사랑과 문학 1> 필자주 : 2021년 영원히 못올 이 한해를 상상하며 우연한 기회에 Google .com 에 들…
12-31 10323
흑표범의 노래<신년시 1> <임인년,꿈 속의 길> 안개 자욱히 숨쉬는 바닷길 태풍에 옷 자락의 바람을 털어내고 흑표범이 포효하는 …
12-28 9267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