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로그인
    • 소셜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로그인연동 서비스로 본 사이트에 정보입력없이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소셜로그인 자세히 보기
문인의방
Calgary booked.net
-29°C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문협 동인지 출간을 축하하며-이유식 시인

글쓴이 : 반장님 날짜 : 2023-03-05 (일) 15:15 조회 : 6228
글주소 : http://cakonet.com/b/writer-237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문협 동인지 출간을 축하하며 (1)

이 유식 시인 초대,2,3대 머슴


문인협회의 7번째 동인지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를 드립니다. 엇 그제에 창립을 한 것 같은데 벌써 20여년의 세월이 흘러왔고 7번째의 동인지를 출간한다는 소식은 저에게 큰 기쁨으로 각인이 됩니다. 열악한 환경과 조건에서 20여년전 다운타운 저의 사무실에서 처음 안 세현 시인, 오 혜정 수필, 이 유식 시인과 시간 관계로 참여치 못한 김 민식 수필 4분의 뜻을 모아 캘거리 문인협회라는 장정의 첫발을 딛기로 합의를 한 해가 생생히 기억에 남습니다.


문협이란 도대체 무엇을 하는 단체인가? 메말라가는 동포사회의 정서를 어떻게 순화하고 삶의 빛과 희망을 불러일으켜 주어 동포사회를 정화시켜 나갈 수 있을까하는 생각은 창립에서 부터 지금까지도 저의 뇌리를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글과 말을 민족 백년대계에 뿌리를 내리고 고유문화의 정체성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할 수 있을까 함은 그 때나 지금이나 어쩌면 제가 흙이 된 후에도 영원한 숙제로 남아 있으리라는 사명감과 신념은 떨쳐버릴 수 없슴을 알고 있습니다.


문학의 개념을 생각하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2천여년 전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학자들에게 논의 되어왔지만 아직 이거다 하는 결론을 얻은바는 없다는 생각입니다. 다시 말을 한다면 사물을 바라보는 개개인의 입장이나 기준에 따라 그 해답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에서 그 평가의 기준에 따라 가변하는 진리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저는 항시 우리의 일상의 삶이 문학이라는 정의를 내려 본 적이 많습니다. 예컨데 잠을 자고 식사를 하고 하루의 일과에 부딪혀 나가는 생활이 문학이라는 생각입니다. 즉 모든 행위에 대하여 글로 표현하고 미화시켜 나감으로 그 글이 타인에게 아름답게 전파되어 공감을 주어서 타인의 생활에 희노애락을 줄 수 있다면 그 희노애락의 승화는 타인의  생존과 나아가 주어진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입니다. 지면상 장황한 말을 줄인다면 문학쟝르는 여기에서 파생되어 나가는 미시적인 학문이라는 결론을 지어 봅니다. 문학이란 대의가 거시적인 산이라면 각 쟝르 시, 소설, 수필, 시조, 희극 등등의 각 쟝르는 미시적인 산 속의 하나 하나의 나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문학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기에 지금 16년째 민초해외동포문학상을 제정 시행하고 있슴도 그 중요성, 나아가 저 생존의 사명감임을 절감하기에 우리 글과 말을 자손만대에 지속 발전케 함이 제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해야할 일이라는 생각에서 16년째 열악한 환경과 수많은 고통을 감내하며 이 문학상을 운영함도 거기에 있습니다. 엣 부터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긴다하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하지만 저는 저 자신의 이름을 남긴다는 큰 희망과 야심도 없고 또한 그렇게 되리라는 바램도 없습니다. 다만 생존하는 날까지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제가 할 수 있는 능력이 된다면 이 보다 더 값지고 빛나는 업적은 없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주에 계속>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제목 날짜 조회
<참회 懺悔>詩 이 유식 2022년 8월 10일 멍충이 멍충이 바보 바보를 무어라 할까 참회 없는 허수아비의 새 쫓는 소리 사람들의 심장을 적셔 주…
08-19 10320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5 <내가 서 있는 곳은 어디일까?,칼럼> 노년의 길은 세월과 싸우면서 하루 하루를 버티어 나가는 길이다. 한…
08-13 10485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4 <시인들은 배가 고프고 고독하다,칼럼> 언제부터 인가 내가 시인인가? 나의 삶의 가치 기준은 인류에게 …
08-05 7923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3 <노추老醜 없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찾아서> 인생길 산책 102에서 멋스럽게 살며 볼품 없는 노인의 삶을 반…
07-20 8676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2<멋지게 살아가는 노인과 볼품 없는 노인> UN, WHO 에서 공식적인 발표를 하지 않았다 하나 사람의 수명이 길어…
07-07 10608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1 <아프리카 나이제리아와 카메룬 여행기> 군인들이 총알을 장진한 총을 가슴에 겨눈다. 아찔한 순간이다. …
06-29 8964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0 <50년전 그해 5월> 이걸 어쩌나. 꽃이 피는가 했더니 녹음이 우거졌다. 녹음이 사라지고 매미 울음소리 멈추니. 단…
06-21 11655
낭독시 추천
06-17 9810
<낭인浪人 시인>詩간다 간다 구멍에서 왔으니 구멍을 찾아간다. 동가숙 북가숙이더냐 우주 한모퉁이 조그마한 땅 나의 제1의 조국 그 곳을 못잊으…
06-13 8769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9 <우크라이나와 러시와의 원수관계의 원인> 세계 어디에서나 민족주의를 가장을 한 이념의 골이 문제로 등장…
05-31 12696
<우리 집의 꽃>詩 오다 가다가 만난 꽃 이름 모를 꽃이 웃으며 손짓을 했지요 웃는 꽃이 아름다워 나도 같이 웃었지요 지나가던 풀벌레와 …
05-28 8937
손해일 시인의 낭독시 "독도"
05-24 11097
<낭인浪人과 들꽃> 황량한 북미 대륙에 들꽃이 피었네 나는 길 잃은 낭인 누군들 나를 알고 있는 사람이 있으랴 그래도 순애로 나를 반기는 …
05-20 5763
<오늘 오늘 또 하루>詩 오늘이 있기에 내일이 있지 하루가 있기에 모레가 있고 또 모레가 있었어 그런데로 흘러가는 세월은 막을 수 없었고 …
05-16 6132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8 <바이킹 유람선에서 만난 안 익태 선생의 보좌역 지머만교수> 6년이 흘러갔다. 세월의 무상함을 어찌하려…
05-06 7488
<그리움의 窓> 詩사랑을 찾아 갑니다그리움 못잊어 가슴에 꽃 한아름 안고눈 뜨고 눈 감았을 때 항시 인자한 웃음 찾아식아 식아 부르는 환청을 찾…
04-28 10992
캘거리 운계 박충선의 "우리말이 그리울 줄이야"
04-21 6075
운계 박충선 "봄의 피사체"
04-20 5754
수선화水仙花 집 앞뜰 혹한의 산고를 삼키며 수줍음에 몸살을 앓던 네가 내 가슴 속을 파고드는 그 순애를 내 어이 하라는 말이냐 매년 봄 …
04-18 5397
존엄의 창窓 3 석굴암 부처님 여명의 첫 햇살 듬뿍 마시며 영원의 빛을 품어 만인의 자랑이건만 그 자화상 속에 고독이란 빛이 새어 나옵니…
04-08 6372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